노인·청년 정책에 소외된 '중장년 여성'…상대적 박탈감?
입력 2016.09.06 22:49
수정 2016.09.06 22:49
"4050세대 여성 1인가구 문제, 노인 문제로 이어질 것"
"4050세대 여성 1인가구 문제, 노인 문제로 이어질 것"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2030·4050·6080세대 1인 여성가구의 생활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비가시화 되어왔던 4050 여성 1인가구의 문제가 심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6일 오후 서울여성가족재단은 서울시 동작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시청각실에서 여성가족정책포럼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세대별 의제를 중심으로’를 열고 1인가구 여성을 세대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박건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여성정책실 연구위원은 ‘4050세대 여성 1인가구의 노후준비와 사회관계’ 발표를 통해 “1인가구 문제는 대부분 독거노인을 위한 정책이었고, 최근에는 청년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중장년 여성은 오랫동안 비가시화 돼왔다”며 “청년은 가정을 꾸리기 전이고 노인은 가족이 해체된 뒤이지만, 4050세대는 당연히 가정이 있을 것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장년 여성이 노후준비를 하고있는 경우는 36.9%에 불과하고 그중 70%는 노후준비를 국민연금으로 한다. 사실상 노후 대책이 없는 셈”이라며 “이들이 그대로 6080세대의 노인 1인가구로 이양될 경우 빈곤의 악화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연구에 따르면 4050 세대는 자신의 현재 생활 수준이 평균 이하라고 느끼면서, 향후에도 나빠지거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생활수준이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강한 것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매우 크다는 것과 같다. 특히 이혼·사별을 겪은 집단이 비혼 집단에 비해 노후 불안감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건 박사는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 세대는 △노후 대비가 부족하여 경제생활이 어려울 것 △노후에 나를 돌봐줄 사람이 없을 것 등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며 “전문직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전직을 위한 교육 훈련 등이 필요하다. 시 차원에서 노후생활 플래너를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날 포럼에 함께 참석한 변미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학업·결혼·사별·병환 등 누구나 죽음 전에 한 번은 혼자 사는 단계를 거칠 수밖에 없는 세상이 되었다”며 “생애단계에서 누구나 거치는 단계가 빈곤과 사회적 고립에 노출된다면, 공공에서 이들을 지원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서울시에서 1인가구과를 만드는 것도 괜찮은 생각이라고 본다”며 “지금 서울시 내 1인가구가 25% 정도이고, 2030년 경부터는 32~35%의 비율이 유지될 것이다. 정책적으로 1인가구과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