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이란'발 중동 긴장에 이빨 드러내는 일본
입력 2016.01.06 10:13
수정 2016.01.06 10:15
집단적 자위권 발동 검토…존립 위기 사태로 판단하면 파병

일본 정부가 중동지역의 긴장 고조를 이유로 집단적 자위권을 반영한 안보법 발동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산케이신문은 6일 보도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사이의 국교가 단절되는 등 긴장 고조로 일본 정부는 원유 문제 등을 들며 국가인전보장국 등을 중심으로 대응을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일본이 수입하는 원유의 85%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다. 이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사이에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해협이 봉쇄돼 일본의 에너지 수입이 끊길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일본 정부에서 가장 우려하는 상황은 호르무즈 해협에 기뢰가 부설되는 것이다. 그 동안은 대응할 방법이 없었지만, 2015년 집단적 자위권을 반영한 안보법이 성립됨에 따라 해협의 기뢰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의 영토에 직접 공격을 받지 않더라도 정부가 일본의 존립에 위협을 받는 ‘존립위기사태’로 판단한다면, 집단적 자위권을 근거로 자위대를 파견할 수 있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성립된 현재에도 한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논란이 있는 바, 안보법 발동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