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불매운동? 피해는 결국 고스란히 근로자에게"
입력 2015.08.12 11:19
수정 2015.08.12 11:28
바른사회 토론회 "35만 롯데계열사 임직원들 밥그릇 걷어차는 행위"
가족 간 경영권 분쟁으로 국민들 사이에 ‘반 롯데’ 정서가 퍼지면서 벌어지고 있는 불매운동은 결국 롯데그룹에서 일하고 있는 임직원들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갈수밖에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불매운동을 유발시킨 ‘반 롯데’ 정서는 소유·지배구조상 일본 롯데가 한국 롯데를 지배하고 있다는 반감, 신격호 총괄회장 일가 상당수가 일본국적을 유지하고 있다는 ‘반 일본’ 정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의 소유·지배구조보다는 기업이 어느 나라에서 실질적으로 영업하고 있으며 얼마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조동근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는 12일 ‘롯데사태, 어떻게 봐야하나’라는 제하의 정책토론회에서 발제자로 참석, “기업의 소유지분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삼성전자도 외국기업으로 분류돼야 한다. 총자산 기준 국내 금융권 2위인 신한금융의 대주주는 재일동포”라면서 “롯데는 외국에서 활동하던 한국인 사업가가 국내에 ‘역진출’해 토착기업으로 성공한 사례다. 국적 정체성에 대한 시비는 부질없는 짓”이라고 지적했다.
조 대표는 “롯데 그룹은 유통업에 속하기 때문에 ‘고용 집약적’인데, 프랜차이즈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고용된 인원은 35만명”이라면서 “롯데그룹 지배주주 일가의 국적과 지배구조를 시비삼아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은 롯데와 연결된 35만명의 밥그릇을 발로 걷어차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들에게 불매운동은 맑은 하늘에 날벼락이나 마찬가지”라면서 “불매운동론자들이 ‘응징하고자 하는 쪽은 롯제지배 주주일 뿐’이라고 반론을 펼칠수 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고용절벽’을 이야기하면서 고용기회를 걷어차고 있는 것이 우리의 실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이번 ‘롯데사태’의 근본적 원인을 ‘가족경영’이라고 비판하는 시각에 대해 "가족기업은 항상 ‘상속 리스크’를 안고 있다"며 이러한 분쟁은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일반적인 사안이라고 평가했다.
조 대표는 “한국에서 롯데그룹 같은 형제간 다툼이 되풀이되는 이유는 가족경영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합리적인 승계 프로그램이 부재하기 때문”이라면서 “세대를 거듭할수록 창업가문 구성원은 늘지만 승계에 명확한 기준이나 뚜렷한 원칙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족기업의 경우 경영권 상속을 둘러싼 분쟁은 비일비재하다. 기업이 존재하는 한 ‘상속 리스크’는 늘 존재한다”면서 “‘상속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그 경제의 ‘소프트 파워’이고, 법치가 그 소프트파워다. 반 기업정서를 부추기고 반 시장적 규제입법으로 상속 리스크를 줄일수는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300년이 넘는 기업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의 화학·제약회사 머크 창업자 가문인 머크가가 13대째 가족경영을 이어오고 있다”면서 “머크 뿐만 아니라 BMW, 밀레 등 기업들은 가족경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