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메르스, 지자체 독자 해결하려면 혼란"
입력 2015.06.05 20:52
수정 2015.06.05 21:03
국립중앙의료원 메르스대책본부 전격 방문해 의료진과 간담회
"지자체는 특이사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통보, 창구 일원화"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메르스) 확산 대응책에 대해 "지자체나 관련 기관이 독자적으로 해결하려고 할 경우엔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메르스 환자를 격리 치료 중인 국립중앙의료원 메르스대책본부에서 의료진과 간담회를 갖고 "각 지자체나 관련 단체에 메르스 대응과 관련해 특이사항이나 제보할 게 있다면 중앙방역대책본부로 통보해 창구를 일원화해서 일사불란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 이 점에 대해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 긴밀한 소통과 협업이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전날 밤 박원순 서울시장이 긴급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의사가 시민 1000여명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했다”는 내용을 밝힌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실제 박 시장의 '메르스 의사' 브리핑이 일파만파 번진 후,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나서 박 시장의 주장에 대한 반박 브리핑을 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지난달 20일 최초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후 정부의 초동대응엔 결과적으로 허점이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는 정부가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메르스) 확산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국민들이 믿음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지금 메르스 감염 확산 방지책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가 격리된 사람들이 외부와의 접촉을 줄이는 것"이라며 "현재 전국의 격리병상에서 의료진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환자를 돌보는데 매진하고 있다. 이들에게 우리가 힘과 용기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일각에선 메르스를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대응과 비교하지만, 사스는 중국·동남아 등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질병의 유입을 막는 것이었고, 메르스는 내국인에 의해 유입된 질병이 의료기관 내에서 여러 접촉을 거쳐 감염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서 그 양상이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앞서 격리 병원에 입원해 있던 메르스 의심 환자 가운데 일부가 퇴원을 준비 중인 상황을 언급하며 “이것을 봐도 메르스는 불치의 병이 아니다”라며 “정부와 의료기관이 힘을 합해 노력하면 모든 환자가 건강하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고, 그렇게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