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생활임금 도입" 박 대통령 "최저임금과 혼선"
입력 2015.03.17 22:52
수정 2015.03.17 23:00
박 대통령·여야 대표, '최저임금 인상' 동의했지만 방법 놓고 이견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1503/news_1426595123_494518_m_1.gif)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7일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데 대해 인식을 같이했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을 놓고는 이견을 보였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이날 청와대에서 1시간 50분 가량 회동을 갖고 경제 현안을 비롯한 포괄적 의제들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이 자리에 배석했던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과 김영록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표는 생활임금 도입과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주장하며 “소득을 높여주고 주거·수도·통신비 등 기본 수요비용을 절감해줘야 한다. 그렇게 하면 내수가 살아나고, 소비가 늘어 경제가 선순환된다”고 말했다.
반면, 박 대통령은 “최저임금을 인상해나가야 하고, 올려가고 있다. 그렇지만 문 대표가 말하는 생활임금 부분은 기준과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최저임금과 혼선이 생길 수 있다”며 “또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최저임금을 지속적으로 인상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최경환 경제부총리도 최저임금을 올리겠다고 그동안 말해왔다. (다만) 대기업은 임금 인상이 가능하나 중소·중견기업은 살아나기도 어려워 (급격한 인상은)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문 대표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최저임금 인상 정책을 인용하며 “최저임금을 대폭 올려야 한다. 7%씩 2년간 올렸으나 미흡하다. 두 자릿수로 대폭 올려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고, 김 대표는 “몇 %라고 말하긴 어렵다.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할 일”이라며 “일자리가 더 없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최저임금이 인상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여야 대표의 의견이 일치되었으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했다’는 수준에서 합의문을 작성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icon/logo_no_icon.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