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당직자 하나 임명하면 공천 공정성 흔들린다고?
입력 2015.02.24 16:43
수정 2015.02.24 16:51
<기자수첩>명분 없는 수석사무부총장 인사 반대, 왜 논란이 되는지도 의문
새정치민주연합 수석사무부총장 임명을 놓고 논란이 한창이다. 문재인 대표가 김경협 의원을 임명하려고 하자 일부 최고위원들이 반발한 것. 일부에서는 김 의원이 친노계라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먼저 지도부 내에서 문 대표의 인선을 반대하는 인물은 김한길 의원의 측근인 주승용 최고위원이다. 전당대회 득표율 1위로 최고위에 입성한 주 최고위원은 1등 최고위원이 수석사무부총장을 추천하는 관례를 내세워 두 차례에 걸친 최고위 회의에서 문 대표의 인사권 행사를 반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도부 밖에서는 김 의원의 계파색이 논란의 대상이다. 문 대표는 취임 초 사무총장(양승조), 정책위의장(강기정), 전략홍보본부장(이춘석), 당대표 비서실장(김현미), 대변인(유은혜), 지명직 최고위원(추미애·이용득) 등 핵심 당직에 비(非)친노계 인사들을 대거 등용해 탕평 인사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조직·재정·대외협력 등 사무처의 실무 전반을 총괄하는 수석사무부총장에 계파색이 뚜렷한 인물을 임명하는 것은 문 대표가 공언한 탕평 인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문제는 당규를 비롯한 당 규정 어디에도 문 대표의 인사를 반대할 명분이 없다는 점이다. 새정치연합 당규 제6호(중앙조직규정) 제62조 등에 따르면, 사무부총장은 사무총장의 제청으로 당대표가 임명하며, 당대표는 필요한 경우 최고위 내 협의를 거쳐 사무부총장 중 1명을 수석사무부총장으로 임명할 수 있다.
‘협의’라는 단서가 있지만, 수석사무부총장 인사는 전적으로 당대표의 권한이다. 주승용 최고위원이 내세우는 ‘관례’도 이전 당대표가 ‘통상’ 그래왔다는 것이지, 그래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또 과거 당대표는 3명의 최고위원을 지명할 수 있었고, 본인의 인사권을 행사하는 데 최고위원들의 협의를 요하지 않았다. 반면 현재 당대표는 최고위원 지명권이 2명으로 줄었고, 상당수 인사에 협의라는 단서가 달렸다. 막강한 권한을 가진 당대표가 최고위원들을 배려했던 과거는 현재의 비교 대상이 아니다.
더욱이 수석사무부총장은 일각의 우려처럼 공천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직책이 아니다.
사무처의 결정권자는 사무총장이며, 사무총장 부재 시 직무대행 1순위는 당규 상 전략홍보본부장이다. 이미 사무총장과 전략홍보본부장에 손학규 전 상임고문계의 양승조 의원, 이춘석 의원이 임명된 상황에서 친노계 사무부총장 한 명으로 탕평 인사라는 원칙이 흔들릴 것이라는 주장은 지나친 억지이다.
당내 한 관계자는 “사무처의 조직 관리가 공천권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그렇게 대단한 권한이면 다 사무부총장을 하려고 하지, 왜 최고위원에 나가고 당대표에 나가겠느냐”고 말했다.
오히려 모든 당직에서 친노계를 배제하는 것이 탕평 인사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다. 당대 의원들 중 3분의 1이 친노계로, 다른 3분의 1은 범친노로 분류되는 상황에서 비노계만 찾다보면 인사의 풀이 좁아질 수밖에 없고, 이 경우 친노계가 아닌 특정 계파의 전횡이나 역차별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보다 본질적인 문제는 당 지도부에 대한 신뢰이다. 주 최고위원의 입장은 차치하더라도, 계파를 이유로 인사를 논란거리로 만드는 것은 당 지도부의 정당성을 무너뜨리는 해당 행위이다.
문 대표가 취임한 지 보름이 지난 현재까지도 반(反)노계로 표현되는 일부 세력은 당직자 하마평에 친노의 ‘ㄴ’ 자만 등장해도 경기를 일으킨다. 친노계를 당직에 임명하면 계파 패권주의가 부활할 것이고, 친노계를 당직에 임명하면 공천 과정의 중립성이 무너질 것이고, 친노계를 당직에 임명하면…
하지만 당무 집행기관인 최고위에서 친노계는 문 대표뿐이다. 일부 당직에 친노계 인사들이 임명된다고 해서 당 붕괴를 우려하는 것은 문 대표가 아닌 최고위의 권위를 무시하는 처사이다. 경중을 따지자면 당직에 친노계 인사가 임명되는 것보다 이 때문에 지도부의 권위가 하락하는 것이 더 큰 문제 아니겠는가.
한 당직자의 말처럼 수석사무부총장 인사가 왜 논란이 돼야 하는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