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안철수의 무공천' 3단계로 잘못했다”
입력 2014.04.09 09:34
수정 2014.04.09 09:39
“포퓰리즘 공약·통합 명분·약속 대 거짓 프레임, 수렁 빠지게 한 실책”
최근 ‘기초 무공천’을 고수해오던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한 발 물러서 여론조사 및 당원 투표를 통해 기초 무공천 철회 여부를 결정하기로 한 가운데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는 “3단계에서 잘못이 있었다”고 밝혔다.
노 전 대표는 9일 B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기초선거 무공천과 관련, “대선 때 이것을 공약으로 내걸었는데 사실 정치개혁과 무관하고 정치 불신에 편승한 포퓰리즘 공약”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방자치의 공천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제대로 고치는 것이 정당이 할 일인데 고치는 것을 포기하고 공천을 아예 안 해버리는 식으로 갔다”며 “1998년, 2006년도에 무공천 선거를 치렀다가 또 다른 부작용이 있어서 2006년도에 개정해서 다시 공천하기로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두 번째는 두 당이 3월 2일 통합하면서 통합의 명분으로 삼은 것도 굉장히 경직된 대응을 하도록 만들었다”며 “세 번째는 무공천 약속을 지키냐, 안 지키느냐의 약속 대 거짓으로 지방선거 프레임을 짠 것”이라고 정리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런 점이 점점 야권을 수렁에 빠지게 만드는 실책이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노 전 대표는 안 대표가 여론조사 및 당원투표에 결정권을 넘긴 것을 두고 “책임정치라는 차원에서 당 지도부의 결단으로 방향선회가 이루어졌으면 좀 더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늦었지만 방향을 선회하겠다고 판단한 것은 다행스럽다”고 표명했다.
이밖에도 노 전 대표는 6.4지방선거에 대해 “서울과 경기는 선택적 야권 연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후보를 낸 후에 연대하는 방안도 있지만 후보를 내지 않음으로써 우리의 뜻을 표명한 바가 있다”며 “수도권은 다른 야당에서 괜찮은 후보도 나오고 있는 만큼 우리는 별도로 후보를 내지 않는 선택적 야권 연대를 주장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 전 대표는 새정연과의 연대에 관하여 “공식적인 요청이 있으면 당에서는 아마 전향적으로 검토하지 않을까 예상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