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석 "대화록 북한 반응? 상식적"
입력 2013.10.11 11:16
수정 2013.10.11 11:21
"정상회담 내용의 공개는 외교 관례 벗어난 일" 주장
박 의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뿐만이 아닌 그 어떤 나라더라도 그 나라와 대한민국 국가 간 정상회담 내용이 이런 식으로 공개된다는 것은 외교 관례를 벗어난 일”이라며 “앞으로 어떤 나라의 정상이 대한민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함에 있어 솔직한 얘길 할 수 있겠나.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조평통은 지난 10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대변인 담화에서 대화록 논란과 관련, “남측 인사들의 방북 당시 발언을 공개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조평통은 우리 측 검찰 수사 및 여권의 대응 등에 대해 “우리 최고 존엄에 대한 우롱”이라며 “담화록이 대결광신자들에 의해 모독당하고 있는 현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조평통은 “담화록을 공개할 내기(를) 한다면 우리 역시 남조선 위정자들과 특사들이 우리에게 와 발라 맞추는(비위를 맞추는) 소리를 한데 대해 전면 공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발언 공개 시 우리 측이 혼란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북한의 이러한 경고는 지난해 6월 통합진보당의 종북 논란이 제기됐을 당시 대권후보였던 박근혜 대통령과 김문수 경기지사, 정몽준 의원 등의 친북·종북 언행을 공개할 수 있다고 했던 것에 비추어봤을 때 결론적으론 박 대통령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02년 5월 한국미래연합 창당준비위원장 및 유럽-코리아 재단 이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남을 가진 바 있다.
조평통은 이날 박 대통령을 향해 “무지무도한 패륜적 망동의 막후에는 박근혜가 있다”, “담화록 사건을 조작하며 전대미문의 ‘종북’ 대광란극을 벌이는 배후 조종자도 다름 아닌 박근혜”라고 비난했다.
한편, 지난 대선 때 불거진 일명 ‘사초폐기’ 논란은 10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검찰은 대화록 폐기 의혹에 대한 중간수사발표에서 대화록이 청와대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에 등록됐다 ‘삭제된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민주당 및 참여정부 관계자들은 “최종본을 만들면 초본을 삭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반박하는 등 갑론을박 중이다.
아울러 정치권에선 해당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대화록 음원파일을 공개해야 한다(새누리당)는 측과 그렇게 되면 외교적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민주당 및 야당)는 측으로 나뉘어 팽팽히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