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국정원 수사권 폐지, 이석기 수사 방해"
입력 2013.09.25 10:57
수정 2013.09.25 11:07
"간첩 정보만 수집하고 만나는 사람 수집안해? 말도 안돼"

하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이 같이 말하며 “국정원 수사관들이 수사를 열심히 하는 이유에는 애국심도 있지만 조직 내부의 승진도 있지 않겠느냐. 그런데 그 수사권을 폐지하자고 하면 수사관들은 앞으로 자기들이 어떻게 될지 입지가 애매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지금 시점에서 (수사권 폐지를) 이야기하는 것은 상당히 불순하다. 결과적으로 수사를 방해하는 등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면서 “수사권이 폐지된다고 하면 (수사관들이) 얼마나 불안하겠느냐. 수사에 집중하려고 해도 자신의 미래가 불안정해지면 의지가 꺾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수사권에 대한 문제는 이 의원 사건에 대한 수사가 끝나고 언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금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하 의원은 “이번에 나온 심리전팀에서 대남심리전팀은 없애도 좋다고 본다. 그리고 대북심리전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면서도 국내 정보수집 기능은 남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간첩에 대한 정보만 수집하고, 간첩이 만나는 사람에 대해서는 정보수집을 안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하 의원은 국정원의 수사권을 검찰과 경찰에 넘겨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그 주장은 말이 안 되는 이유가 북한 관련 정보는 북한 내부의 정보, 한국 내 정보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 미국 등에 연계돼있다. 글로벌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면서 “이런 기능을 가진 조직은 국정원밖에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인사도 안정돼야 한다. 그런데 검찰이나 경찰은 투명한 조직 아니겠느냐”면서 “그런데 정보를 다루는 조직은 사실상 어느 정도 음지에서 일할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다 공개될 수밖에 없는 조직에서 이런 정보를 다룬다는 것 자체가 우리 안보 기능을 북한에 넘겨주자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국정원을 대통령 소속에서 국무총리 소속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하 의원은 “마찬가지로 국가 안보를 책임지는 사람은 대통령인데 국무총리로 바꾸자는 것 자체가 안보의식이 상당히 의심되는 말”이라고 꼬집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