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NLL 회의록' 실종에 "믿기지 않는다"
입력 2013.07.18 10:44
수정 2013.07.18 10:49
"청와대가 이 일에 나서 이렇다 저렇다 할 상황 아니고 지켜보는 입장"
여야 의원 10명으로 구성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자료 열람위원단’이 지난 17일 국가기록원에서 정상회담 ‘회의록’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한 것과 관련, 청와대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8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도 솔직히 황당하고 당혹스럽지만 지금으로서는 믿기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발표를 기다려보자”며 “청와대가 이 일에 나서서 이렇다, 저렇다 할 상황은 아니고 지켜보는 입장이나 믿기지 않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일단은 국회, 현장에 다녀왔던 의원들이 공식적으로 얘기한 경위를 먼저 들어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검색어가 틀릴 수도 있는 거니 일단은 현장에 열람을 위해 갔던 의원들의 공식발표를 듣고 얘기를 하도록 하자. 그 외에는 정말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앞서 여야 열람위원단은 전날 성남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국회 운영위원회에 제출할 관련 자료 목록에 대한 2차 예비열람을 진행했으나 국가기록원이 제시한 자료 목록 가운데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열람위원단은 기록원이 제시한 자료 목록에서 위원단이 요청했던 일부 항목이 누락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누락된 항목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관계자 증언과 정황 등을 종합해볼 때 ‘회의록’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적잖은 파문이 예상된다.
다만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 모두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보자”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여정부가 회의록을 기록원으로 이관되지 않았거나, 기록원이 회의록을 보관 중 유실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아직까진 무엇 하나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기록원의 업무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이 열람위원들이 입력한 검색어와 일치하지 않거나, 일부 대통령 지정 기록물이 보안상의 문제로 다른 이름으로 저장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우선은 운영위와 열람위원단 모두 진상파악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