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범죄 피해로 퇴사한 근로자도 실업급여 지급…검찰·노동부, 지침 개선

황기현 기자 (kihyun@dailian.co.kr)
입력 2025.04.16 13:58
수정 2025.04.16 13:59

대검, 고용노동부와 범죄 피해자 실업급여 수급 자격 논의…구체적 방안 마련

범죄 피해자 자발적 퇴사해도…'정당한 이직 사유' 있으면 실업급여 지급

정당한 이직 사유 인정되려면…범죄 피해와 퇴사 간 인과관계 있어야

대검찰청. ⓒ연합뉴스

범죄 피해로 인해 제대로 일할 수 없는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하더라도 보다 쉽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찰과 고용노동부가 내부 지침을 개선했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고용노동부와 범죄 피해자의 실업급여 수급 자격에 관해 논의해 구체적 방안을 마련했다고 이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범죄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도 '정당한 이직 사유'가 있으면 실업급여를 지급하기로 했다.


정당한 이직 사유가 인정되려면 범죄 피해와 퇴사 간 인과관계가 존재해야 한다. 근무지에서 범죄가 발생하거나 가해자에게 근무지가 노출되는 등의 문제로 직장에서 더는 일할 수 없어 퇴사한 경우 등이 해당한다.


검찰과 경찰은 피해자가 수사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직접 관련 수사 서류를 고용센터에 제공하기로 했다.


검찰은 지난 2일 범죄 피해자가 관련 사건의 형사 절차 진행 상황을 문자 메시지로 통지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기도 했다.


이 밖에 피해자의 사건기록 열람·등사권을 강화하고 치료비 지원, 피해자들을 위한 가압류 신청 등 법률지원을 할 수 있도록 일선 검찰청에 지시했다.


대검은 "범죄 피해자의 권리 보장 및 지원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했다"며 "피해자의 지위를 강화하고 빈틈없는 피해자 보호·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황기현 기자 (kihyu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