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국화 지속 전망…“韓, 웨강아오 협력 강화 필요성”
입력 2025.04.16 11:37
수정 2025.04.16 11:37
대외연, 홍콩 경제 등 변화에 따른 시사점
홍콩 입법·사법·행정 중국 개입 증가 분석
한·중 협력으로 한-웨강아오 검토 필요성

한·중 간 지역경제 협력 차원에서 홍콩과 협력 강화를 모색해 나갈 필요성이 제기됐다. 향후 홍콩의 중국화(홍콩-본토 일체화)라는 큰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략 산업 등 중심으로 협력을 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16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발표한 ‘홍콩의 경제·사회 변화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에 따르면, 2019년 반송환법 시위 이후 홍콩 정치사회는 비교적 빠르게 중국화 돼 가고 있다고 판단했다.
홍콩 자치 및 입법·사법·행정에 대한 중국 본토 개입이 현저하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홍콩 입법기관인 입법회에 관한 선거법이 친중 세력이 유리하게 개정되기도 했다.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2021년 12월 진행된 홍콩 입법회 선거 결과, 친중국 성향 후보들이 압승했으며 민주당 성향 무소속 후보들은 모두 낙선했다.
홍콩 수장인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선거제도도 개정됐다. 행정장관 및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선거위원회 자격을 심사하는 자격심사위원회가 신설됐다. 선거인단 내 중국 전인대 및 정협 홍콩 대표 위원 수를 87명에서 190명으로 늘려 선거위원회 내 친중 인사 비중을 확대했다.
홍콩 사법 영역에서 친중 성격 행정장관이 개입할 수 있는 범위도 확대됐다.

특히 반송환법 시위 이후 홍콩 경제가 변화하고 있다.
중국 본토에 대한 홍콩 자금 조달 역할은 유지되고 있으며, 적어도 당분간은 지속될 전망이란 분석이다. 홍콩의 대중국 FDI는 지속 증가했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의 FDI에서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도 코로나19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중국의 FDI는 70억8000만 달러, 2021년 72만8000만 달러, 2022년 72억6000만 달러로 확인됐다.
또 중국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홍콩 증권시장에 상장하고 있고, 위안화 관련 업무를 확대하면서 중국 진출을 원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을 홍콩으로 유인하고 있다.
대외연은 향후 홍콩의 중국화(홍콩-본토 일체화)라는 큰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봤다. 다만 미·중 전략경쟁 향방과 중국 경제 상황, 홍콩 내부 여론 향방 등에 따라 속도 조정 등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우리나라는 홍콩 대체론보다는 홍콩과 협력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또 한·중 지역경제 협력 사업으로 한-웨강아오(광둥성·홍콩·마카오) 협력 검토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홍콩 경제적 기능 중에서 국제 금융허브 기능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관측했다. 홍콩 물류 및 유통 등 기능 약화도 중국 주요 도시 해당 기능 강화와 함께 나타나고 있어, 이를 고려한 기회 탐색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국의 중화권 시장 진출 확대와 고도화 차원에서 한중 간 지역경제 협력 사업 일환으로 한-웨강아오 대만구 협력 등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도 제시했다.
향후 홍콩과 중국 본토 주요 지역 간 경제적 격차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측되기에, 한-홍콩 경제 협력을 한중 경제협력 차원에서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외연 측은 “한-웨강아오 대만구 협력을 통해 양국 간 기술, 자본, 인재, 서비스 분야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홍콩이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 기술, 의료·바이오 분야 등 미래 유망산업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술 및 서비스업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