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지방은행 부실채권 1조 돌파…털어도 쌓이는 연체에 '진땀'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입력 2024.08.09 06:00
수정 2024.08.09 06:00

한 해에만 4000억 넘게 증가

고금리에 지역 경제 '직격탄'

상반기 8500억 정리했지만

연체율 상승하며 손실 부담↑

은행 먹구름 이미지.ⓒ연합뉴스

지방은행들이 가계와 기업에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이 최근 한 해 동안에만 4000억원 넘게 불어나면서 1조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차주들의 빚 상환 여력이 악화하자 은행의 대출 자산에서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지방은행들은 손실을 감수하고 악성 채권을 정리하고 있지만 하루가 다르게 쌓이는 연체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앞으로도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실채권 정리로 인한 손실 부담은 계속될 전망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부산·BNK경남·iM뱅크(옛 DGB대구은행)·광주·전북 등 5개 지방은행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 2분기 말 기준 1조3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8%(4301억원) 늘었다.


은행은 대출채권 상태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구분한다. 이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묶어 구분하는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볼 수 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부산은행이 4551억원으로 140.8% 늘어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iM뱅크(4488억원·43.3%) ▲광주은행(1249억원·23.4%) ▲경남은행(1777억원·23.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전북은행만 1234억원으로 18.8% 감소했다.


이처럼 지방은행들이 보유한 대출의 질이 급격히 저하된 배경엔 장기화하는 고금리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인상해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에 가계와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확대됐고, 경기 둔화에 따른 매출 감소로 채무 상환 여력은 급격히 악화했다.


특히 수도권보다 지역 경제가 고금리 충격을 더 크게 받으면서 지방은행들이 부실을 좀처럼 잡지 못하고 있다. 실제 한은에 따르면 전국 평균 어음부도율은 0.16%로 전월(0.24%) 대비 0.8%포인트(p) 하락했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평균 어음부도율은 0.35%로 0.02%p 상승하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 지방은행들의 대출 포트폴리오에서 중·저신용 차주 비중이 높은 점도 건전성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개 지방은행이 가계에 내준 신용대출(잔액 기준) 중 금리 7% 이상 평균 비중은 54.6%다. 이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 평균 비중(10.0%)과 비교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이 같은 상황 속 지방은행들은 손실을 떠안고 부실채권 정리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5개 지방은행이 올 상반기 동안 단행한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는 85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9%(3326억원) 급증했다. 은행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손실(상각) 처리하거나 자산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매각해 건전성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재무상태표에서 부실채권이 제외되면서 건전성 지표가 개선된다.


하지만 대출에서 연체가 계속 쌓이고 있어 건전성 관리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다. 5개 지방은행의 전체 대출 평균 연체율은 지난 2분기 말 기준 0.742%로 지난해 말보다 0.058%p 상승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수도권보다 더 악화한 지역 경제와 높은 금리 영향으로 건전성 저하 추세가 지속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 비중과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높은 점도 리스크 관리에 신경 써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고정삼 기자 (j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