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의대 교수 사직 여부 판가름… 정부 “타협 없어”
입력 2024.03.14 12:14
수정 2024.03.14 14:22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 사직 여부 논의
의료공백 우려 커져
“특정 직역과 협상하는 사례 없어”
“사직 시 제자·국민 잃을 것”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403/news_1710393724_1339021_m_1.jpeg)
15일 의대 교수들의 사직 여부가 결정된다. 정부는 교수들에게 환자 곁을 지켜야 한다고 호소하면서도, 협상할 의지는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을 통해 “정부가 의대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하는 사례는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전국 19개 의대 교수는 지난 12일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오는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치기로 했다
19개 대학교는 서울대·연세대·울산대·가톨릭대·제주대·원광대·인제대·한림대·아주대·단국대·경상대·충북대·한양대·대구가톨릭대·부산대·충남대·건국대·강원대·계명대로, 참여 대학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이미 서울의대와 울산의대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결의한 만큼, 전국 의대 교수들도 사직서 제출에 가세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예측이 나온다.
앞서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11일 총회에서 정부가 적극적인 방안을 도출하지 않는다면 오는 18일을 기점으로 전원 자발적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 역시 지난 7일 전원 사직서 제출을 결의했다.
의대 교수들 사이에서 집단행동 조짐이 일자 환자들 불안은 더 커지는 분위기다. 전공의에 이어 교수마저 근무지를 이탈할 경우 의료공백으로 인한 문제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다.
정부는 사직서 제출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교수들을 설득하면서도, 의대 증원에 대한 타협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박 차관은 의대 교수들에게 “지금은 환자를 떠난 전공의들을 의료현장으로 돌아오도록 설들 할 때로,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제자를 지키는 방법이 될 수 없다”며 “환자와 그 가족의 고통을 외면한 채 환자의 생명을 버린다면, 의료현장에 남아있는 제자들과 국민을 잃게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어 “정부는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하는 사례는 없다”며 “협상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은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식의 제안에는 더더욱 응할 수 없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환자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모습을 제자들에게 보여달라”며 “전공의들이 더 나은 여건에서 배우고 성장하도록 전문의 중심 병원 구조 혁신과 근무시간 단축 등에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icon/logo_no_icon.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