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막가는 일본, 바다가 쓰레기장? 오염수 이어 화산재까지 [위기의 바다②]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입력 2024.01.04 07:00 수정 2024.01.04 07:00

러시아 핵폐기물 방류 막았던 일본

후지산 폭발 때 화산재 해양 투기

오염수 이어 주변국 마찰 불가피

국제 사회, 해양 오염 행위 제제 필요

지난 2018년 5월 일본 가고시마현 유스이에서 신모에다케 화산이 폭발해 화산재와 연기가 수천m 상공으로 치솟고 있다. ⓒ뉴시스

일본 정부가 후지산 분화로 대량의 화산재가 쌓이면 이를 바다에 투기하는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만약을 가정한 것이지만 지난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 오염수 방류에 이어 화산재까지 해양 투기를 계획함에 따라 또다시 주변국과 마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달 30일 후지산이 대규모로 폭발해 대량의 화산재가 수도권에 쌓이면 화산재 해양 투기를 인정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후지산이 1707년 ‘호에이(寶永) 대분화’ 규모로 폭발하면 화산재를 공원이나 운동장 등에 임시로 보관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문제는 공원이나 운동장만으론 화산재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일본 정부는 이달 전문가 회의를 열어 화산재 해양 투기 방안을 논의하고 봄에 마련할 화산재 대책 지침에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일본 중앙방재회의는 후지산이 폭발하면 제거가 필요한 화산재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에 발생한 재해 폐기물의 10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처리해야 할 화산재는 4억9000만㎥로 도쿄돔 390개를 채우는 분량이다.


일본의 이러한 결정은 지난해 시작한 오염수 방류에 이어 다시 한번 폐기물 해양 투기 논란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초 일본 홋카이도 바닷가에서 정어리 떼가 집단 폐사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오염수 영향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터라 이번 결정에 더 많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잠잠해진 오염수 논란 다시 불붙여


지난달 7일 인터넷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해안에 집단 폐사한 정어리 떼가 백사장 1km 정도를 뒤덮은 영상이 공개됐다.


해당 영상은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 중국 인민일보 계열 환구시보는 ‘방사능 오염수 관련 의혹’이라는 제목으로 정어리 집단 폐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영국의 대중매체 데일리메일도 8일 ‘수천 t의 물고기 사체가 일본 해안으로 밀려왔다’는 제목으로 관련 내용을 보도하면서 오염수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고바야시 아사키 일본 외무성 대변인은 13일 기자회견을 열어 “일부 언론이 정어리류의 표착(漂着)과 처리수(오염수) 해양 방출을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며 “수산청은 정어리류의 표착은 결코 드문 현상이 아니며 처리수 해양 방출을 이유로 삼을 근거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어리 떼죽음이 오염수와 관계없다 하더라도 일본은 이미 오염수 해양 투기 자체만으로도 과거 자신들의 결정에 반하는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일본은 지난 1993년 러시아가 일부 핵폐기물을 해양 투기했을 때 한국, 미국, 유럽 국가와 함께 국제해사기구(IMO) 총회에서 투기 중단을 주도한 바 있다. 일본은 모든 핵폐기물의 해양 투기를 금지하도록 런던협약 개정도 관철했다. 당시 러시아가 투기한 핵폐기물은 900t이다. 지난해 일본이 세 차례에 걸쳐 방류한 오염수는 약 2만3400t으로 러시아보다 26배 많다.


한편, 일본 정부의 화산재 해양 투기 결정에 요미우리 신문은 “후지산은 1707년 분화 이후 300년 넘게 폭발하지 않았다”며 “과거 5000년 동안 폭발 공백기가 가장 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펄펄 끓는 바다, 사라진 물고기…역대급 태풍 위험도[위기의 바다③]에서 계속됩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