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늙어가는 서울, 10년 뒤엔 30%가 노인…"결국 집값 때문인데, 서울시 잡을 의지 부족"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입력 2023.12.06 05:03
수정 2023.12.06 05:03

지난해 전국 합계출산율 평균 0.78 넘어선 자치구…서울 시내 한 곳도 없어

전문가 "서울 합계출산율 낮은 이유, 주거 불안한 영향…자가보유율 40% 불과"

"좀 더 안정적인 주거 환경서 자녀 키우고 싶은 부모 마음이 자녀 출산 계속 미루게 해"

"서울 도심 재건축·재개발, 집값만 올릴 뿐…서울시, 임대아파트만 지을 뿐 집값 잡을 의지 부족"

출산.ⓒ게티이미지뱅크

서울이 급속도로 늙어가고 있다. 서울의 집값이 워낙 오른 탓에 애를 낳을 수 있는 젊은이들의 서울 진입이 어려워지고 있고, 설사 진입했더라도 불안한 주거 환경으로 출산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에 재건축, 재개발을 독려하면 집값이 오를 뿐이라면서 서울시가 기껏 임대아파트만 더 짓고 집값을 잡으려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5일 서울시 공공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관악구의 합계출산율이 0.422명으로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낮았고 광진구가 0.461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종로구 0.477명, 강북구 0.483명, 강남구 0.490명, 마포구 0.529명, 동작구 0.567명, 도봉구 0.573명, 금천구 0.588명, 강서구 0.588명 등도 서울시 합계출산율 평균인 0.593명을 밑돌았다. 합계출산율이 0.7명을 넘어선 곳은 성동구(0.723명), 강동구(0.719명), 노원구(0.716명)로 불과 3개 자치구 뿐이었다.


지난해 전국 합계출산율 평균인 0.78명을 넘어선 자치구가 서울시 안에서는 한 곳도 없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서울의 합계출산율이 낮은 이유는 주거가 불안한 영향이 있다"며 "자가보유율도 전국적으로 55~60% 정도 되는데 서울은 50%가 채 안 된다. 자기 집이 없고 임대주택에 거주하시는 분들이 60%, 자기 집을 가진 사람은 40%에 불과하기 때문에 주거가 불안하고 좀 더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녀를 키우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 자녀 출산을 계속 미루게 한다"라고 분석했다.


김 소장은 "노원구의 경우 서울 외곽에 있어 집값이 저렴하면서도 교육 환경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자산이 적은 신혼부부들이 살만한 곳"이라며 "강동구도 강남 4구에서 저렴한 아파트가 많은 지역으로 표준화된 아파트 인프라는 좋고 애 키우기는데 돈이 부족한 분들이 갈만한 지역"이라고 말했다. 임재만 세중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사후적으로 해석하는 것이지만 이들 3 자치구는 집값은 싸고 생활환경이 좋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데일리안 DB

결국 집값이 문제인데, 서울시가 집값을 잡으려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임 교수는 "집값을 떨어뜨릴 생각이 있다면 오세훈 시장이 중앙정부에 '왜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안 망하게 해서 집값 떨어지지 않게 하느냐'며 강력하게 항의를 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있다"며 "도심지에 재건축, 재개발하면 집값이 오르지 떨어지지 않는다. 다 비싼 가격의 집만 늘리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소장 역시 "기껏해야 임대 아파트를 더 짓는 노력을 할 뿐"이라며 "교육, 주거, 노후 문제가 다 결합된 복합적인 문제라서 서울시가 나서도 한계가 뚜렷하다"고 힐난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서울시가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시기도 점점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54.1만명으로 2010년 대비 연평균 4.5% 증가했다. 2021년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르면 2025년 서울은 노년인구가 20.1%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해 2032년에는 노년인구 30%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10년 뒤엔 10명 중 3명이 '노인'이 되는 셈이다.


서울시 노년부양비도 2023년 24.9에서 2033년 40.1로 급증할 전망이다. 2033년 기준 자치구별로 가장 높은 노년부양비는 도봉구(55.2), 강북구(53.1), 구로구(46.7), 중랑구(46.5), 금천구(46.2)로 나타났다. 허준수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서울의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는데 어르신들의 50% 이상이 빈곤하다"며 "노년부양비는 계속 높아지지만 서울시에서 절대빈곤층을 중심으로 하다 보니 노인복지 예산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가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대비해 보편적이고 다원화된 복지를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하나 기자 (hana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