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 앞둔 북한 정찰위성…중국·러시아 '꼬리' 밟힐까
입력 2023.04.26 15:29
수정 2023.04.26 15:30
"발사체·카메라 기술력 외에
데이터 송수신 능력과
관련 인력 숙련도까지 따져봐야
중·러가 도움줄 수도"
북한의 군사 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관련 기술 수준에 대한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거듭된 장거리미사일 발사로 '운반 능력'은 증명한 상황이지만, 카메라 및 송수신 기술 확보는 여러 제약이 따르는 만큼, 중국·러시아의 물밑 조력 여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26일 서울 한 호텔에서 '북한 핵미사일 역량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개최된 제9차 세종국방포럼에서 "정찰 위성은 여러 능력을 봐야 한다"며 △발사체 △카메라 △데이터 송수신 △인력 숙련도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우선 대륙간탄도미사일(ICMB) '화성-17형'과 위성 발사 명분으로 과거 쏘아올린 '광명성호' 사례를 감안하면 "북한의 발사체 능력은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정찰위성이 제 기능을 하려면 해상도 높은 카메라 기술력이 필요하다며 1m 이하를 식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북한이 자체 개발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은 "IR(Infrared Radiation·적외선) 카메라나 SAR(Synthetic Aperture Radar·합성개구레이다) 카메라가 있으면 좋다"면서도 "IR은 해상도가 떨어지고 통제(제재) 품목에 들어가 있다. SAR도 한계가 있어서 처음에는 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결국 광학 카메라를 장착해 발사할 가능성이 높지만, 관련 기술력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위원은 "광학 카메라도 흑백과 컬러가 있다"며 "컬러 쪽으로 가면 삼원색을 해야 되기 때문에 더 어렵다"고 말했다. 광학 카메라는 비 오는 날, 햇빛 없는 야간, 장마철 등의 시기에 가동이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북한이 하루에 2~4번 한반도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위성으로 군사적 이점을 확보하기 위해선 적어도 3~5개의 위성을 운용해야 하는 만큼, 다량의 위성발사 과정에서 기술 및 성능 부문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평가다.
하지만 단기간 내에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중국·러시아의 조력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위원은 "위성은 플랫폼"이라며 "플랫폼에 '임무 장비'가 들어간다. 중국이 2m 이하 해상도를 가진 카메라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정도 되는 플랫폼을 주면 북한 입장에선 좋을 것이다. 러시아가 플랫폼을 하나 줘도 빠른 시간 내에 (북한이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위원은 발사체·카메라 기술 외에도 데이터 송수신 기술 및 관련 숙련 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북한이 중국·러시아 도움을 받더라도 경험 축적이 필요한 분야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 위원은 "디지털 신호라는 게 다 흔들려서 나온다"며 "보정해서 무엇인지 판단하는 능력은 쉽게 되는 게 아니다. 상당한 경험과 기술 축적, 설비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게 지상에서의 데이터 처리"라며 "인력 훈련도 상당히 돼야한다. 쉽지 않다. 중국에서 (데이터 처리하는 곳을) 가봤는데 쉽지 않다. 우리나라도 지금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