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메리츠화재 부동산 대출 연체 급증…공격적 PF '부메랑'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입력 2022.10.06 06:00
수정 2022.10.04 17:07

1246억으로 1년 새 7배 가까이↑

금리 상승에 건전성 악화 '직격탄'

서울 강남구 메리츠화재 본사 전경. ⓒ메리츠화재

메리츠화재가 부동산 사업에 내준 대출에서 불거진 연체가 1년 새 7배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나섰던 메리츠화재가 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침체 리스크를 정통으로 맞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메리츠화재가 부동산·임대업에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는 1246억7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6.7% 급증했다. 2019년과 2020년 대출 연체액이 하나도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2~3년 새 1000억원이 넘는 대출 부실이 발생한 것이다.


부동산 관련 대출 연체 금액은 전체 보험사 중 메리츠화재가 제일 컸다. 보험사별로 보면 ▲롯데손해보험 100억원 ▲하나생명 100억원 ▲교보생명 44억6000만원 ▲KDB생명 14억7000만원 ▲NH농협생명 9억원 ▲푸본현대생명 3500만원 순이다.


총 대출채권 대비 연체금액의 비율을 뜻하는 연체율도 1.45%로 같은 기간 대비 1.21%p 급상승했다. 메리츠화재를 제외한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4대 손보사의 평균 연체율이 0.16%임을 감안하면 압도적인 수치다.


메리츠화재의 대출 연체율을 끌어올린 원인도 부동산이 핵심이었다. 올해 상반기 말 메리츠화재의 전체 대출 연체액은 1276억2700만원으로 이중 97.6%가 부동산·임대업 관련 금액이었다.


메리츠화재 부동산 ·임대업 대출 연체액 추이. ⓒ데일리안, 금융감독원

메리츠화재의 대출 건전성에 금이 가고 있는 것은 공격적인 자산운용 기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간 메리츠화재가 자산을 성장시키기 위해 부동산PF 대출에 적극 나섰는데, 최근 가파른 금리상승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리스크에 노출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부동산PF 대출이란 건설업체가 아파트·오피스텔·상가 등 개발사업을 할 때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받는 대출을 말한다. 금융사는 직접 대출 또는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수수료와 이자를 받는다. 그러나 미분양 등으로 개발사업의 수익성이 악화하면 금융사는 대출금을 떼일 위험에 노출된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5조9755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35.2% 증가했다. 규모로 봐도 손보사 중 가장 크고 전체 보험사 가운데에서도 삼성생명 다음으로 크다.


보험업계에서는 메리츠화재가 전체 보험사 연체율을 끌어올렸다는 얘기도 나온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보험사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0.33%으로 3월 말 보다 0.28%p 상승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적극적인 투자로 자산을 많이 성장시킨 만큼, 부동산 침체기에 관련 리스크도 커진 것"이라며 "부동산 금융을 줄이고는 있지만 아직도 타사 대비 많은 비중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신용평가는 지난달 11일 발행한 보고서에서 모기업인 메리츠금융에 대해 "금리 상승 및 공사비 증가 등으로 인해 부동산PF 익스포져의 건전성 저하 위험도 커지고 있다"며 "과도했던 위험 익스포져 부담을 축소 중이지만 여전히 자본 대비 부담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메리츠금융그룹은 메리츠증권을 통한 부동산금융 영업을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캐피탈이 소화하고 있다.


메리츠화재 측은 이같은 연체는 일시적이며, 자산건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부동산 호황기 안정적 자산에 대출을 한 데다, 지난 7~8년간 부동산 관련 대출 투자 시 A급 이상 시공사 책임준공, LTV 50% 이하 선순위 등 엄격한 리스크 통제기준을 적용했다"며 "일부 연체 자산의 증감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회수 과정에서 생긴 일시적 현상으로 자산의 담보가치 감안 시 문제없는 수준이다"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향후 금융사들이 취급하는 부동산 PF 대출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등 잠재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 PF 대출 관련 사업장별 점검을 지속 실시하고 모니터링 지표를 보완하는 등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효숙 기자 (ss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