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부동산PF 대출 부실 수면 위…리스크 관리 어쩌나
입력 2022.06.22 15:29
수정 2022.06.22 15:30
지난해 상위 20개사 부동산 대출 40%↑
저축은행들이 크게 늘린 부동산PF 대출에 대한 부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리 인상기가 본격화되면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예고됐기 때문인데 일각에선 10년 전 저축은행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22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 10개사의 부동산PF 대출금은 4조5357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동기(2조9606억원) 대비 약 53.2%(1조5751억원)가 늘어난 규모다.
이중 자산 상위 5위에 해당하는 대형 저축은행(SBI·OK·웰컴·한국투자·페퍼)의 경우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2조6295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8090억원) 보다 45%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OK저축은행이 942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국투자저축은행(8899억원), 웰컴저축은행(5725억원), SBI저축은행(1137억원), 페퍼저축은행(1105억원)순으로 파악됐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산 규모 상위 20개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부동산업·건설업·부동산PF) 대출 잔액은 최근 4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해 증가율이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 잔액은 23조5000억원으로 2020년(16조8000억원)보다 40%가량 늘어 2019년과 2020년 각각 10%, 15% 증가율을 크게 상회했다.
상호저축은행업법상 저축은행의 부동산업·건설업·부동산PF 대출의 합은 전체 대출 자산의 5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여신이 위험 자산에 편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취지다.
그러나 상위 저축은행 20곳 중 7개사가 규제선에 육박한 부동산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상위 10위 안에서는 한국투자 저축은행이 53.2%로 가장 컸고, 모아저축은행과 상상인저축은행이 그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 부동산PF가 크게 늘어난 배경은 가계대출 규제 강화가 꼽힌다. 업계는 가계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기 어렵게 되자 PF 등 부동산 대출로 눈을 돌렸다. 또 저금리 장기화로 인한 채권형 상품의 수익률이 크게 낮아지자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익률의 부동산 금융투자상품으로 자금유입이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금리 인상기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데 이어 한국은행 역시 내달 빅스텝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 결과 시장침체로 자산가격 조정이 시작되면 부동산 시장 역시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미분양 물량 증가로 인한 부동산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일각에선 과거 저축은행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는 지난 2011년 부동산PF 대출 부실화로 부산저축은행을 비롯한 부실 저축은행들이 대거 영업정지된 사건이다.
다만 업계는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도 금액 내에서 부동산PF를 취급하고 있고, 각 저축은행 역시 리스크 관리 및 심사 노하우가 축척됐다”며 “각 사별로 충당금을 추가 적립하는 등 리스크 관리도 하고 있어 과거와 같은 사건 발생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