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쿡 애플 CEO “美·EU 반독점법, 아이폰 보안 위협”
입력 2022.04.13 16:57
수정 2022.04.13 16:57
애플의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12일(현지시간)가 미국 의회와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반(反)독점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해당 법안이 아이폰 이용자들의 보안을 취약하게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쿡 CEO는 이날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개인정보보호전문가협회(IAPP)의 ‘글로벌 프라이버시 정상회의’ 연설에서 의회가 제안한 반독점 법안이 아이폰을 덜 안전하게 만드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쿡 CEO는 “이곳 워싱턴과 다른 곳(유럽)에서 정책 입안자들이 경쟁이란 이름 아래 앱스토어를 우회한 애플리케이션(앱)이 아이폰에 들어가도록 애플에 강제할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이는 데이터에 굶주린 기업들이 우리의 프라이버시 규칙을 우회하고 이용자의 뜻에 반해 그들을 다시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의회가 추진 중인 반독점법에는 애플의 자사 앱 플랫폼인 ‘앱스토어’를 통한 다운로드 방식 말고도 외부를 통해 앱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애플은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이유로 지금까지는 앱스토어에 올라온 앱만 아이폰에 받을 수 있게 제한하고 있다. 애플은 앱스토어를 통해 앱을 판매하는 업자들에 최대 30%의 수수료를 받는다.
앱 개발자들은 이같은 애플 정책에 반발하고 있다. 애플이 사생활 보호 정책을 이유로 부당하게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쿡 CEO는 “더 안전한 옵션을 없애면 이용자들에게 더 적은 선택을 남길 것”이라며 “기업들이 이용자 데이터를 착취하고 싶어 (애플의) 앱스토어를 떠나기로 결정할 때 이는 대안적인 앱스토어, 즉 프라이버시와 안전이 보호되지 않는 앱스토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커다란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애플은 경쟁의 가치를 믿는다”면서도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앱이 아이폰에 들어가도록 우리가 강요당하면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심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걸 보면 우리는 나서서 정책 입안자들에게 프라이버시를 해치지 않으면서 우리가 공유하는 목표를 진전시키기 위해 함께 일하자고 요청해야 할 의무감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과거에도 반독점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강조해왔다. 지난 1월 티모시 파우들리 애플 공무업무 담당자는 의회에 서한을 보내 반독점법에 우려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그는 “아이폰 사용자들에 사이드로딩(USB 등으로 휴대 전화에 앱을 내려받는 방식)을 허용하는 것은 소비자에 큰 손실”이라며 “수백만의 미국인들이 악성 프로그램 공격에 노출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