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구성 속도...경제1분과 최상목·외교안보 김성한·정무사법 이용호(종합)
입력 2022.03.15 11:13
수정 2022.03.15 11:32
인수위 7개분과 중 4개 인선
취임식준비위원장에 박주선
이번 주 인수위 구성 완료 목표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03/news_1647311561_1093301_m_1.jpe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새 정부 밑그림을 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구성에 속도가 붙고 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권영세 부위원장·원희룡 기획위원장 아래 인수위 7개 분과 중 총 4개 분야 분과 간사와 인수위원이 발표됐다.
윤 당선인은 인수위 구성을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인수위는 이번 주 내 구성을 마무리하고 주말부터 바로 정부 인수 업무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03/news_1647310175_1093301_m_2.jpeg)
경제1분과 최상목·김소영·신성환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5일 경제1분과(경제정책·거시정책·금융), 외교안보, 정부사법행정 분과 인수위원 명단을 발표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현안 브리핑에서 경제1분과 간사에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이, 인수위원으로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신성환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가 임명됐다고 밝혔다.
최 전 차관은 행정고시에 합격, 공직에 입문해 30여년을 경제사령탑인 기재부 등에서 근무한 정통 경제관료다. 앞으로 윤 당선인이 추진해야 할 코로나19 대응 관련 소상공인 지원과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를 비롯해 연금개혁·주식 양도세 폐 지등 경제공약을 정부 부처와 원만히 협의하는 역할을 부여 받았다.
김 교수는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에서 경험을 쌓은 거시경제·국제금융 전문가로서 새 정부 경제정책 설계에 역할을 할 예정이다.
한국금융학회 회장을 맡은 신 교수는 재무관리·국제 금융분야 전문가로 자본시장 투명성, 부동산 대출 규제 완화 등 금융경제 정책을 담당한다.
외교안보분과 김성한·김태효·이종섭
외교안보분과 간사에는 김성한 전 외교통상부 2차관이 임명됐다. 인수위원으로는 김태효 전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합참 차장이 이름을 올렸다.
김 전 차관은 30여년간 외교분야에서 활동한 국제정치 전문가다. 평소 자유민주주의 가치를바탕으로 글로벌협력을 증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윤 당선인의 한미동맹 재건 공약과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김 전 기획관은 대학과 정부에서 왕성한 활동을 해온 외교안보 전문가다. 외교안보분과에서역할을 맡아 윤 당선인의 상호주의와 실사구시 원칙에 입각한 남북문제 해결이 흔들림 없이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논의를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전 차장은 군 지휘관 출신으로서 야전경험을 비롯해 국방정책 전략과 한미연합 지휘구조 등 분야에서 경험을 두루 겸비했다.
정무사법행정분과 이용호·유상범·박순애
정무사법행정분과 간사에는 이용호 국민의힘 의원이 선임됐다. 인수위원으로는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과 박순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가 참여한다.
13년간 정치부 기자로 활동해 온 이 의원은 초선 시절 정책위의장을 지내는 등 정책 전문성을 인정받은 점이 인선 배경이 됐다. 김 대변인은 "무너진 공정과 상식을 회복하는 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법률 전문가로서 윤 당선인의 사법개혁 공약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 교수는 한국행정학회 65년 역사상 첫 여성 학회장으로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정부 혁신과 행정에 관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한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03/news_1647310296_1093301_m_3.jpeg)
5월 10일 대통령 취임식을 준비할 취임식준비위원장은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이 맡는다. 박 전 부의장은 호남 출신 4선 의원이다. 김 대변인은 "박 전 부의장은 수많은 정치역정을 거치며 대한민국 정치지형 바꾸는 데 헌신적 역할 해왔고, 국정 통합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은 윤석열 정부의 가치와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계신 분"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수위 7개 분과는 △기획조정 △외교안보 △정무사법행정 △경제1(경제정책·거시경제·금융) △경제2(산업·일자리) △과학기술교육 △사회복지문화 등이다. 아직 인선이 완료되지 않은 분과는 경제2·과학기술교육·사회복지문화 등 세 곳이다.
전날에는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기획조정분과 간사로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을, 인수위원으로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 최종학 서울대 교수를 발표했다. 인수위는 이번 주 내로 인선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윤 당선인이 민정수석실 폐지를 예고한 가운데 청와대는 인사를 추천하되 인사 검증 기능은 법무부와 경찰로 넘기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실은 추천 기능만 보유하고 검증 대상자, 고위공직자뿐만 아니라 청문 대상인 국무위원, 필요한 공직자 검증에 대해서는 법무부와 경찰 등에서 상호견제와 균형 원칙에 따라 이뤄지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203/news_1647310175_1093301_m_3.jpeg)
![](https://cdnimage.dailian.co.kr/news/icon/logo_no_icon.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