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이달 말 경제정책방향 발표…경제회복 출발선”
입력 2021.12.08 14:01
수정 2021.12.08 14:02
연구기관장·투자은행 전문가 간담회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2022년은 우리 경제가 완전한 경기회복과 함께 새 성장궤도로 접어드는 희망찬 출발선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요 연구기관장 및 투자은행(IB)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주재하고 “내년에는 경기적, 정책적, 정치적 측면에서 전환기적 특징을 지닌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홍 부총리는 “펜덱시트(Pandexit)에 따른 경제 정상화가 본격화되면서 우리 경제의 복원력과 미래성장경로를 결정짓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정책 정상화와 함께 신성장동력·디지털화·그린화·신양극화 극복 등 미래 정책아젠다 본격화의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현 정부의 국정 마무리와 다음 정부의 성장 모멘텀 이어가기라는 정치적 전환기라는 점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세심한 경제운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최근 글로벌 경제와 한국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전반적인 회복 흐름세는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방역 재강화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태”라고 봤다.
홍 부총리는 또 “우리의 경우 금년과 내년 G20(주요 20개국) 선진국 중 코로나 위기 이전 경제수준을 가장 빠르게 회복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면서 “G20 선진국 중 2023년까지의 경제회복 속도도 가장 빠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최근 경제상황 진단 및 향후 경제전망, 2022년 경제정책방향 등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홍 부총리는 주요 내용을 정부의 내년 경제정책방향 수립시 반영해 조속히 마무리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홍장표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황덕순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차문중 삼성경제연구소 소장, 장재철 KB국민은행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