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사업주가 미납한 국민연금 보험료, 근로자가 내라고요?…다 떠넘기려는 꼴"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입력 2021.11.28 07:04
수정 2022.01.09 16:21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회사가 미납한 국민연금, 10년 지나도 근로자가 납부 가능

국민들 "회사에서 굳이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는 안일한 생각만 줄 뿐"

전문가 "국민연금 납부 책임은 사업주…무엇보다 미납 발생하지 않게 하고 추가납부 받아줘야"

"사각지대 발생하는 '직장 중심 사회보험'에서 '소득 중심 사회보험'으로 바꿔야"

국민연금공단 ⓒ연합뉴스

회사가 근로자의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아 납부기한이 10년 이상 지나도 근로자가 이자와 체납보험료를 내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내용의 '국민연금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


회사가 국민연금을 체납할 경우 국민연금 가입 기간에 공백이 생겨 연금을 수령할 때 적은 금액을 받게 되는 불이익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취지지만, 결론적으로는 사업주가 미납한 보험료의 책임을 근로자에게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강하게 일고 있다.


개정안은 근로자가 사용자 부담금을 포함해 체납된 보험료 전부를 납부할 수 있고 납부기한으로부터 10년이 지났더라도 이자를 더하면 납부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기준으로 1년 만기 정기예금 이자율은 0.7%인데 10년이 넘은 부분에 대해서는 1년 만기 정기 예금 이자율의 가산이자가 적용된다. 또, 만일 회사가 10년간 내지 않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면 앞서 보험료를 납부한 근로자에게 국세환급금 가산금 이율(1.2%)을 더해 돌려준다.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윤모(53)씨는 "2019년도에 다니던 직장을 퇴사하고 난 뒤 퇴사 전 몇 달 동안 국민연금이 납부되지 않은 걸 알게 됐다"며 "알게 된 후에 퇴사한 회사와 껄끄러워질 것 같아 신고하거나 알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윤 씨는 "시간이 지나고 보니 국민연금 납부 기간에 공백이 생긴 것 같아 속상하다"면서도 "매달 10만원 내외의 국민연금을 냈기 때문에 막상 지금 한 번에 내려면 부담이 된다. 아직도 납부하지 못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직장인 한모(34)씨는 "당초 4대 보험료는 회사에서 알아서 그때그때 내주는 것인데, 보험료가 밀리지 않게 제때 납부하도록 감시하는 체제부터 마련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추후에 납부가 가능하게 된 것은 회사에서 굳이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는 안일한 생각을 주고 근로자 스스로 국민연금 등의 문제를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뜻으로 들린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미 내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회사가 시간이 지난 뒤에 납부를 해주는 일도 없을 것 같다"며 "결국 근로자가 낼 것 같은데, 나중에 추가 납부하게 되면 이자까지 납부해야 해서 금액이 너무 불어난다"고 토로했다.


근로자 ⓒ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국민연금 납부 책임은 사업주에게 있고, 국민연금 미납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런 사회보험의 사각지대가 생기는 원인은 직장 중심의 사회보험제도 때문이라고 분석하며 소득 중심의 사회보험으로 바꾸는 사회보험 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홍경준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4대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았다는 것은 사업주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라며 "우선적으로 재직 기간에 보험료 미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만약 미납이 되었을 때는 추가납부를 받아주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근로자가 돈이 없어 추가 납부를 못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손해인 제도지만 추가납부를 할 수 있다면 근로자에게 좋은 제도"라면서 "이러한 사회보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이유는 직장 중심의 사회보험 때문이다. 근로자의 개념이 다양해짐에 따라 직장 중심에서 소득 중심 사회보험으로 바꾸는 식의 사회보험 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연금을 납부하는 책임은 사업주에게 있다"며 "이것이 밀리면 근로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시간이 지난 후에 회사나 근로자에게 납부하라고 고지할 것이 아니라 미납이 되었을 때 곧바로 기관에서 알려줄 필요가 있다"며 "보험료 미납 시 사업주에게 고지가 되고 사업주에게 연체료를 받거나 법적인 제재가 이뤄지는 것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정채영 기자 (chaezer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