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경연 “무리한 노조 파업 관행으로 반복되는 산업피해…대체근로 도입해야”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입력 2021.10.25 06:00
수정 2021.10.24 12:53

美 영구적 대체근로에 파업참가자 복귀거부도 가능

사업장 불법 점거도 금지해야...美·英 해고까지 가능

“엄정한 공권력 대처로 무리한 파업의 장기화 막아야”

G5 국가의 대체근로 제도 비교. ⓒ한국경제연구원

노조의 무리한 파업 관행 개선을 위해 파업시 대체근로 허용, 노조의 사업장 점거금지, 엄정한 공권력 집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25일 국내에서 파업으로 인한 연평균 근로손실일수가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 선진국들에 비해 많은 편으로 무리한 파업관행으로 산업피해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0년간(2009~2019년) 한국과 G5 국가들의 파업으로 인한 연평균 근로손실일수(국제노동기구(ILO) 통계 기준 임금근로자 천명당 파업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를 비교하면 한국 은 38.7일로 프랑스(35.6일)·영국(18.0일)·미국(7.2일)·일본(0.2일)로 한국은 가장 낮은 일본에 비해 193.5배 높았다.


무리한 파업관행으로 인한 산업피해도 컸다. 지난 2017년 이후 언론에 보도된 파업사례만 종합해봐도 파업으로 인한 기업들의 생산손실 피해액은 4조원이 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이러한 무리한 파업관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체근로 허용, 직장점거 금지, 엄정한 공권력 집행 등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파업시 대체근로를 금지하고 있어 파업이 발생하면 생산차질로 인한 판매 및 수출 타격은 물론, 협력업체 폐업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H사는 지난 2016년 총 36차례 파업에 대해 대체근로를 사용하지 못해 3조1000억원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고 R사는 2019년 총 312시간의 파업으로 생산차질이 발생하여 한때 매출액 200억이었던 협력업체 한 곳이 폐업하기도 했다.


반면 G5국가들은 대체근로를 허용하고 있다. 특히 대체근로를 가장 적극적으로 허용하는 미국은 임금인상·근로조건 개선 목적의 경제적파업의 경우 영구적인 대체근로까지 허용하고 있으며 추후 파업참가자의 사업복귀도 거부할 수 있다. 일본·영국·독일·프랑스의 경우에도 신규 채용 및 도급 방식으로 대체근로를 활용할 수 있다.


한경연은 “대체근로가 허용되면 파업인력을 대체하는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기업은 파업으로 인한 손실이 감소해 투자와 일자리 수도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G5 국가의 직장점거 제도 비교.ⓒ한국경제연구원

직장점거도 금지해야 한다는 것이 한경연의 주장이다. 노조의 불법 점거시 해고까지 가능한 미국·영국과 달리 국내에서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는 지적이다.


국내에서는 주요 선진국들과 달리 파업시 주요업무 시설에 대해서만 점거를 금지하고 사업장 내 부분 점거가 허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장점거는 종종 생산라인의 점거, 회사 시설물 손괴, 비조합원 및 사무직원에 대한 작업방해와 폭력행사 등의 불법행위로 이어져 기업에 더 큰 손실을 미치게 된다.


반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은 직장점거를 불법으로 보고 금지하고 있다.


이들 선진국에서는 파업은 사업장 밖에서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위반하는 경우 미국·영국에서는 징계·해고까지 가능하며 독일은 사업장 출입을 희망하는 근로자를 강제로 저지해 위력으로 파업참가를 강요하면 형법상 협박죄가 적용된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직장내 부분·병존적 점거를 허용하고 있으나 실제 파업자체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한경연은 선진국처럼 무리한 불법파업에 엄정한 공권력 대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업에 대한 공권력의 미온적인 대처는 파업이 장기화로 이어져 관련 산업의 피해규모를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에서는 불법 파업에 대해 공권력이 엄정하고 빠르게 대처한다. 미국 레이건 대통령은 지난 1981년 항공 관제사들이 벌인 불법파업에 대해 48시간 내 업무복귀를 명령했고 이를 어긴 근로자들 1만1000여명의 해고를 단행해 대규모 불법파업 관행의 고리를 끊었다.


영국 대처정부는 지난 1984년 탄광노조 총파업에 대해 위법으로 판단하고 공권력을 동원했으며 약 2만명 광부들의 해고를 내용으로 하는 국영광산 폐쇄 계획을 발표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파업이 발생하면 사용자 방어권이 제대로 구비돼 있지 않아 노조의 과도한 요구와 무분별한 투쟁에 대한 기업의 대응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라며 “경제계 피해를 최소화하고 노사간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이 사업주 대체근로 허용과 노조의 사업장 점거 제한, 엄정한 공권력 대처 등 노사관계 선진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