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세된 플렉시블 OLED…삼성·LG 폼팩터 다변화로 초격차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입력 2021.10.18 13:54
수정 2021.10.18 13:54

폴더블·롤러블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정부 지원 미비는 아쉬워…“관심 가져야”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OLED.ⓒ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모바일 시장에서 대세로 자리 잡은 플렉시블(휘어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폼팩터(기기형태) 다변화에 나서며 시장 주도권을 지켜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높은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적극 공략하며 중국 기업과의 격차를 벌려나갈 것이란 분석이다.


18일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컨설턴트(DSCC)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플렉시블 OLED 점유율은 59%로 직전분기(43%) 대비 16%p 상승했다. 반면 리지드 디스플레이는 57%에서 41%로 16%p 급감했다.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인 갤럭시Z 시리즈와 애플 아이폰의 신제품 출시 효과로 플렉시블 OLED의 패널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플렉시블 OLED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 등 구부러지는 재료를 사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애플·삼성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주로 사용된다.


이처럼 모바일 OLED 시장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폴더블(접히는)과 롤러블(둘둘말리는) 등 플렉시블 OLED를 활용한 새로운 폼팩터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더욱 주목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중국 업체들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추격에 나서고는 있지만 아직은 수율과 양산 측면에서 한국과 여전히 차이를 보이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폴더블과 같은 고난도 기술의 경우 그 격차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잇따라 고배를 마시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한국과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 격차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폼팩터 다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상당히 고무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LCD 시장을 잠식한 중국 기업들이 최근 몇 년 간 OLED 투자를 늘리며 추격에 고삐를 죈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전반적인 기술력과 양산 능력, 품질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는 아직 한국 기업이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8월 1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딜라이트샵을 찾은 고객이 진열된 폴더블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 Z플립3을 살펴보고 있다.ⓒ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다만 중국 업체들이 자국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 디스플레이는 오히려 기업활력제고법(기활법)에서 제외 되는 등 홀대를 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정부는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및 협력사 아홉 곳을 기활법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다. 기활법 대상에 선정되면 기업은 세제 감면과 함께 규제 완화를 적용 받는다.


하지만 올해 기활법 대상 선정을 위해 세 차례 열린 사업재편계획심의위원회에서는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으로 단 두 곳만 선정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폼팩터 다각화 등으로 당분간은 이 격차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보이지만 방심은 금물”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과 LG가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과 LG는 OLED 패널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통해 기술 초격차를 확대하는 한편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건엄 기자 (lk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