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전기 직거래 허용하는 'PPA제도' 이달말 시행
입력 2021.10.12 11:00
수정 2021.10.12 10:27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재생에너지 전기 사용, RE100 활성화 기대"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된 전기를 전기사용자가 직접 구매(PPA)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 제도가 10월 21일부터 시행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 신설을 위한 '전기사업법'이 개정된 데 이어 이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세부 사항을 담은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데 따른 것이다.
PPA(Power Purchase Agreement)는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 등이 개입하는 전력시장을 통하지 않고 재생에너지 전력판매자와 전기사용자가 전력을 직거래하는 당사자 간 계약 방식이라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자의 유형과 전기사용자의 부족 전력 공급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규정됐다.
우선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자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또는 다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모아 집합자원화한 사업자 모두 가능하게 됐다.
또한 재생에너지 전기공급사업자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이 줄거나 사용량이 늘어 부족 전력이 발생하게 될 경우 전기사용자는 전기판매사업자(한전) 뿐만 아니라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 전력시장에서 직접 전기를 구매할 수 있게 했다.
이외에도 이번 개정안에는 '소규모 전력자원 설비 용량' 기준을 현행 1MW 이하에서 20MW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국내에서도 재생에너지 전기를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돼 국내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기 사용과 RE100 참여가 활성화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했다.
최근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저탄소 사회 구현, 사회적 책임 이행 등을 위해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하는 RE100 캠페인이 확산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된 전기를 직접 구매할 수 없어 RE100 참여 수단이 제한적이었던 상황이었다.
산업부는 "그간 민간 전문가 및 기업, 환경단체 등 이해관계자 의견을 종합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이번 개정안이 마련됐다"며 "향후에도 의견을 적극 반영해 제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