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농진청, “장마철 야생버섯 함부로 먹지 마세요”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1.07.11 11:03
수정 2021.07.11 10:15

독버섯 여부 구분 어렵워

민간속설도 과학적 근거 없어


대표적인 독버섯으로 분류되고 있는 개나리광대버섯.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장마철 무분별한 야생버섯 섭취는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덥고 습한 장마철에는 버섯이 자라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이에 따른 중독사고 발생 빈도도 증가한다.


우리나라 자생 버섯은 19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먹을 수 있는 버섯은 전체 21%인 약 400여 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독이 있거나 식용이 불분명한 버섯이다.


장마철에 발생하는 야생버섯은 종류가 다양하고 발달 단계, 발생환경 등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겉모양만으로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구분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독우산광대버섯과 개나리광대버섯은 장마철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독버섯이다. 아마톡신(amatoxin) 균독소를 지니고 있다. 아마톡신은 호흡기 자극,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호흡곤란, 설사, 위장 장애 등을 일으킨다. 간, 심장 등 여러 장기를 손상시켜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독우산광대버섯은 식용버섯인 흰주름버섯과 형태가 비슷해 이를 혼동한 중독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독우산광대버섯 주름살은 항상 흰색을 띠지만 흰주름버섯 주름살은 연한 분홍빛을 나타내다가 성숙할수록 뚜렷한 갈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은 식용버섯인 노란달걀버섯과 비슷한 노란 우산 형태 자실체를 지녀 혼동하기 쉽다. 노란달걀버섯은 개나리광대버섯과 달리 갓 둘레에 홈 선이 뚜렷하고 치마 모양의 담황색 턱받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야생버섯의 식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많이 쓰이는 민간 속설도 대부분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 맹신하면 안 된다. 예를 들어 ‘곤충이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거나 ‘은수저를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은 식용 가능하다’는 등 속설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버섯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장갑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과장은 “전문가가 아닌 이상 야생버섯 섭취는 항상 중독사고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되도록 농가에서 생산한 안전하고 신선한 버섯을 섭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