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웅 농진청장 “벼 재배기술 자동화…디지털농업기술 확대”
입력 2021.06.15 11:04
수정 2021.06.15 10:31
16일, 전북 김제 현장실증단지서 벼 디지털 농업 현장 연시회 개최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사진)은 16일 전북 김제벼 디지털농업 현장 실증단지를 방문해 자동화·지능화 기술 들녘별 공동 활용을 통한 노동력 절감과 안정생산 가능성을 확인한다.
이날 허 청장은 벼 디지털농업 현장실증 현황을 파악한 후 자율주행 이앙(모내기), 자동물꼬 시스템에 대해 설명을 듣고 시연을 지켜볼 예정이다. 이어 드론 활용 씨뿌림(파종) 동영상과 전시된 기기도 둘러볼 계획이다.
직진 자율주행 이앙기술은 기존 2명이 담당하던 모내기 작업을 1명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번기 모내기에 드는 노동력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이다.
특히 직진 구간 이앙 후 편리하게 선회하도록 하는 시스템 스마트 턴 기능이 추가돼 선회 구간에서 비숙련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해졌다. 농진청은 앞으로 자율주행 이양기술을 고도화해직진뿐만아니라 선회 구간에서도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접목해 나갈 계획이다.
자동물꼬 시스템은 영상 또는 감지기(센서)와 카메라를 활용해 논에 나가지 않아도 편리하게 물관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농업인이 모바일 웹에서 자동물꼬 카메라를 통해논물 조절, 벼 생육상황, 물길(수로) 상황을확인할 수 있다.
또이상기상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편리하게 물관리를 할 수 있어 안정적인생산이 가능하다. 농진청은 생산량을 예측하는 기술과 무인기(드론) 활용 벼 파종기술을 고도화해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벼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디지털농업기술을 보급・확대할 방침이다.
벼 수량을 예측하는 작물모형 활용기술은 벼 생육 정보를 활용하고이상기상 요인을 반영해 벼 수확기 생산량을 추정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벼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 정부가 발표한 생산량과 비교해 약 3% 내외 오차율을 보이는데 그쳤다.
아울러 드론 활용 벼 파종기술과 관련, 기존 원판 회전식 살포기를개선한 수직 강하 방식 장치를 개발해 균일하게 파종할 수 있는최적 조건을 시험 중이다.
허 청장은 “농촌 고령화로 노동력은 갈수록 부족하고이상기상으로 벼 수확량은일정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많은 농업인이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벼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자동화·지능화된 디지털농업기술을현장에 적용하고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