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자유한국당에 새 당대표의 선수(選數)는 중요치 않다
데스크 (desk@dailian.co.kr)
입력 2018.11.12 06:00
수정 2018.11.12 09:30
입력 2018.11.12 06:00
수정 2018.11.12 09:30
<칼럼> 원내대표와 달리 다선중진 아니라도 돼
블레어·마크롱 같은 '젊은 피' 대표 나왔으면
<칼럼> 원내대표와 달리 다선중진 아니라도 돼
블레어·마크롱 같은 '젊은 피' 대표 나왔으면

지방선거 '폭망' 후에 제대로 작동도 할 수 없을듯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시작할 때부터 아슬아슬하더니, 전당대회 개최시기 문제로 전원책 변호사를 전격 해촉하면서 다시 또 자유한국당이 난리다.
애초에 내년초까지의 한시적 임기에다 차기 공천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비대위가 문제있는 일부 현역의원들과 당협위원장들을 선별해 '물갈이'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뻔히 불가능한 일이었다.
전원책 변호사도 '십고초려'와 "전례없는 권한"을 무기로 큰 소리 쳤지만, 논객이었을 뿐인 그에게도 당연히 버거운 일이었다 그런데도 비대위원장은 도대체 왜 전국의 지역책임자를 다 비우는 일괄 해직부터 했는지!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자기 발등 찍어가며 고집한 2월 전당대회 개최론은 결국 이미 신망을 다 잃은 기존 세력의 중진 다선 의원에게 다시 당대표를 맡길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하자는 것으로 읽힌다.
그럴 바에 당초에 비대위원장을 왜 맡았고, 굳이 2월까지 자리를 지킬 필요가 있나. 만약 전당대회 이후를 생각한다면 한마디로 그것은 욕심이다.
함께 비대위원장에서 물러나든지 아니라면 당의 회생을 위한 마지막 비상대책으로 당대표라도 혁신적으로 세울 방법을 찾아주기를 요구한다.

원내대표는 몰라도 당대표는 꼭 다선 중진의원이 맡을 필요가 없다고 본다. 낡은 고정관념을 깨자!
지금 한국당 처지로는 새 당대표로 노회한 다선 중진 의원보다 언변 있고 참신한 초선 의원을 앉혀도 당 지지율이 10%p는 올라간다.
그래서 감히 호소한다. 비대위원장 뿐만 아니라 내년 2월 한국당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직접 도전하겠다거나 그동안의 '꼰대' 노릇을 믿고 당대표는 내 손으로, 내 영향권에서 만들겠다는 다선·중진 의원님들에게!

보수야당을 그리고 나라를 완전 망칠 생각이 아니면 그 노욕을 이번에는 제발 한 번 내려놓아 보시라고! 초·재선 의원들 간에 신선한 경쟁을 하게 해서 당의 대표직을 맡겨보시라고!
영국의 토니 블레어 전 수상이나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 같은 젊은 피를 만드는 것은 결국 그 당의 중진과 원로들이었지 본인들의 힘만이 아니었음을 상기해 주시라고!
글/ 석동현 전 서울동부지방검찰청 검사장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스크 기자
(de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