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13억 인도, 식품·자동차·전기전자 수출 유망"
이홍석 기자
입력 2018.07.22 11:00
수정 2018.07.22 03:01
입력 2018.07.22 11:00
수정 2018.07.22 03:01
IT·통신·전자상거래·스마트시티 등 미·중·일에 뒤져...정부 지원 절실
인구 13억 거대 시장 인도에 포장재·가공기계·자동차·전기전자 등 제조분야 진출이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는 22일 ‘중소·중견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인도의 식품 제조·가공, 자동차, 전기전자 등 제조업 밸류체인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식품 제조·가공 및 포장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현지 기업의 제조 기술력과 물류 인프라 등이 열악해 국내 포장재·가공기계·콜드체인 기술 수출과 현지 유통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한 진출이 유망하다.
또 인도의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은 연구개발(R&D)과 사후관리(AS) 등에서 해외 기업에 주로 의존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기술력과 고객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 진출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반면 미래산업인 정보통신기술(ICT)·전자상거래·스마트시티 등의 경우 국내 기업의 인도 내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ICT와 전자상거래 산업의 경우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기업과의 자본력 차이로 기술 및 투자 경쟁에서 뒤지며 인도에서 국내 기업의 인지도도 낮았다. 인도는 오는 2020년까지 100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기 위해 대형 인프라 사업 발주를 추진하고 있지만 한국은 정부 차원의 프로젝트 참여 전략 및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관련, 온라인 1인칭시점슈팅(FPS) 게임 ‘포인트 블랭크’를 세계 60여개국에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업체 제페토는 최근 무역협회와 만난 자리에서 인도 시장에서 거대 자본력을 앞세운 미국과 중국 기업과 경쟁하는 데 따른 어려움을 털어놨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인도 IT·통신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우리 정부가 국가 차원의 신기술 육성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인도 스마트시티 구축에 뛰어든 쌍용건설도 세계적 수준의 건설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인도에 기본적인 인프라 환경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인도 스마트시티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국가 단위의 대규모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이 13억 인도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망 IT기술 선정 및 기업 육성을 위해 각종 절차를 생략한 패스트트랙 제도 운영 ▲전자상거래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국가 주도 프로젝트 컨소시엄 활성화 ▲지속적인 금융규제 완화 등을 제시했다.
안근배 한국무역협회 무역정책지원본부장은 “우리나라가 인도 시장에서 일본·미국·중국 등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차세대 기술개발 지원, 세제 혜택, 금융지원 강화 등 다각적인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