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서울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생활인구 통계 지표’ 개발
이호연 기자
입력 2018.03.04 10:35
수정 2018.03.04 10:39
입력 2018.03.04 10:35
수정 2018.03.04 10:39
LTE 시그널 정보 활용해 ‘집계구 단위’ 인구 현황 파악 및 일 단위 제공
인구통계분야 전문가들이 자문단 참여
LTE 시그널 정보 활용해 ‘집계구 단위’ 인구 현황 파악 및 일 단위 제공
인구통계분야 전문가들이 자문단 참여
KT는 서울특별시와 함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생활인구 통계 지표’서비스 개발을 완료하고 서울시의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 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KT는 지난3일 서울시청 신청사 3층 대회실에서 시민단체인 OK 코리아가 주최하는 ‘Open Data Day’ 행사에서 개최된 ‘4차 산업혁명시대, 데이터의 역할’이란 주제로 서울시와의 공동연구 성과물인 ‘서울 생활인구’ 데이터의 시민 공개를 계기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인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대한 열린 토론을 진행했다.
KT와 서울시는 서울의 행정서비스 기준인 주민등록인구는 2010년을 정점으로 지속 감소추세인 반면 생산성과 도시 활력을 나타내는 ‘경제활동인구’와 ‘주간인구’는 증가추세로 서울 행정서비스 대상을 거주인구에서 실제로 생활하는 인구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2017년 5월부터 10개월에 걸쳐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서울 생활인구는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와 KT의 통신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구를 추계한 것이며, 조사시점 현재 서울에 머무르고 있는 ‘현주 인구’로 서울에 주소지를 둔 사람은 물론 업무, 관광, 의료, 교육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인구를 총칭한다.
서울 생활인구는 KT LTE 시그널 정보를 활용하여 인구추계를 한 세계 최초 사례이다. 행정동 단위보다 세밀한 집계구 단위의 인구이동현황으로 집계했으며, 데이터 생산주기를 D+5일 기준으로 데이터를 집계(예. KT가 2/28일에 서울시로 정보를 제공시에 2/23일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금번 서울 생활인구를 통해 확인된 사항을 살펴보면(분석기간: 지난해 10~12월), 서울 생활인구는 평균 1151만명이었고, 최대 1225만 명(12월 20일 14시), 최소 896만 명(10월2일 7시)으로 주민등록인구(1013만명, 지난해말 주민등록인구 기준) 대비 최대 212만 명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민등록인구 상위 3개 지역은 송파(67만명) > 강서(61만명) > 강남(56만명) 이고, 생활인구 상위 3개 지역은 강남(85만명) > 송파(77만명) > 서초(62만명)으로 차이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지 않으면서 출근, 통학 등의 사유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최대 165만명으로 경기(78.6%), 인천(10.5%)이 전체의 89.2%를 차지하며 시군별로는 고양시(15만4000), 성남시(14만3000), 부천시(11만9000), 남양주시(11만명), 용인시(9만3000) 순으로 집계되었다.
생활인구 중 외국인 생활인구는 영등포구, 구로구, 광진구에 장기체류외국인이 많이 존재하며, 중구, 강남구, 마포구에 관광목적 등의 사유로 단기 방문한 외국인이 많이 집중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참고로 장기체류자는 외국인등록증으로 KT에 가입한 외국인이며, 단기체류자는 로밍 서비스 사용자로 구분했다.
특히 1년중에 가장 인구이동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추석 연휴기간(10/1 ~ 10/9)의 서울 생활인구는 평균(1151만명) 대비 255만명이 일시적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욱 KT 플랫폼사업기획실장은 “서울 생활인구 지표 개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 맞추어 민관이 협력하여 큰 성과를 창출한 우수 사례이며, 본 결과물이 지자체들의 스마트시티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행정정책 입안을 위한 인구통계 정보를 보완하기 위해 2017년 4월 KT와 업무협력을 통해 서울 생활 연구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세계최초로 진행되는 생활인구 추정의 완성도를 제고하기 위해 국내 학계/민간/공공기관의 인구통계분야 전문가 9인이 자문단으로 참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