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이주 공공기관 직원, 65%가 나홀로 이주

박민 기자
입력 2014.09.05 13:17
수정 2014.09.05 13:22

김희국 의원 "혁신도시, 기관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활거점 조성 필요"

지방의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직원 대부분이 '나홀로' 이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희국 새누리당 의원(대구 중남구)이 국토교통부에게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0개 혁신도시 전수조사 결과, 각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직원의 가족동반 비율이 25.3%에 불과했다.

2014년 7월 현재 이전이 완료된 40개 공공기관의 이전계획 인원은 총 8134명이며 이 중 7739명이 이주했다.

이주형태로는 단신이주, 곧 나홀로 이주가 5022명으로 가장 많았고(65%), 가족동반 이주는 1951명(25.3%), 통근자는 752명(9.7%)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직원 10명 중 7명가량이 기러기 생활을 하는 셈이다.

특히 나홀로 이주자 중 앞으로 동반이주 의향을 가진 인원은 403명으로 전체 6.97%에 불과했다.

전체 기관 중 가족 동반 이주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경북 김천의 조달품질원으로 이전인원 64명 중 단 1명(1.6%)만이 가족동반으로 이주했다.

충북 청주의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이전인원 397명중 13명(3.3%)만이 동반이주했고, 울산 근로복지공단은 451명중 39명만(8.6%)이 동반이주했다.

이외에도 대한적십자사,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교통안전공단 등이 4~7%의 한자릿수 대 동반이주 비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7.5%로 가장 낮은 동반이주율을 기록했고, 경북 13.2%, 강원 16.7%, 울산 17.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의 이전 직원은 10명 중 8명이 나홀로 이주자이다.

경남(23.0%), 대구(24.4%), 전북(27.1%) 또한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저조한 동반 이주 비율은 같은 맥락이었다.

김희국 의원은 "혁신도시는 단순히 공공기관의 주소지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이전 기관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활거점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람이 터를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기관직원조차 가족과 함께 사는 것을 피하는 상황에서 혁신도시의 정책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무리"라며 "기관이전과 함께 교육, 문화, 거주환경 또한 동반 개선하는 종합적 도시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민 기자 (mypark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