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로 치솟는 공사비, 건설사 수익성 악화…‘주택공급 절벽’ 가시화
입력 2025.01.13 16:05
수정 2025.01.13 16:05
건설공사비지수, 2020년 11월 이후 30% 뛰어
원가율 ‘껑충’, 재건축·재개발 발목…1기 신도시 정비사업 ‘먹구름’
270만가구 공급 계획도 ‘흔들’, “공공부문 견인”
공사비가 천정부지로 솟으면서 올해도 건설업계의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이에 따른 건설업계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정부의 주택공급 계획도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크다.
13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건설공사비지수(2020=100) 지난해 11월 기준 130.26(잠정치)으로 집계됐다.
건설공사비지수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2020년 11월(100.97) 대비로는 29.0% 올랐다.
공사비가 크게 오르면서 건설사들의 원가율도 치솟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10대 건설사 평균 원가율(삼성물산 제외)은 92.85%로 조사됐다.
올해도 탄핵 정국 등으로 고환율 현상에 따라 원가율은 더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건설업계가 내실경영과 수익성을 토대로 보수적인 전략을 짜고 있는 가운데, 올해 정비사업 등 민간 중심의 주택 사업이 크게 위축될 것이란 관측이 크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사들은 공사비 문제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말 탄핵정국 등으로 환율이 급격하게 오르내리면서 자재비 등 지출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최근 자재비뿐 아니라 인건비도 많이 올라 공사비 상승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도심 지역의 주택공급을 담당하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우 조합이 시공사를 구하지 못해 여러 차례 유찰을 겪거나, 공사비 증액을 두고 갈등이 발생해 실제 공급까지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단 설명이다.
공사비 상승은 정부가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는 주택공급 관련 정책에도 걸림돌이다.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 등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의 경우 지난해 11월 각 신도시 별로 총 3만6000여가구에 이르는 선도지구 사업 물량이 발표됐다.
‘노후계획도시정비 특별법’에 따른 첫 수혜 사업지이지만, 지역별로 사업성이 제각각이어서 정부 계획대로 2027년 첫 착공, 2030년 첫 입주를 실현해낼 수 있을진 불투명하다.
집값이 뒷받침되는 분당을 제외하고는 높은 공사비 등에 따른 분담금을 감당하지 못해 재건축이 쉽지 않다는 평가다.
3기 신도시 등 사전청약을 진행했던 공공주택 본청약 물량도 올해 2만8000여가구 예정돼 있지만, 공사비 상승에 따른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본청약에 나선 인천계양의 경우 A2블록의 분양가가 사전청약 당시 예측됐던 4억9000여만원을 훌쩍 상회하는 5억7000여만원으로 책정되며 논란을 빚었다.
지난해 말 사업계획 변경안이 승인된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내 S5, S6, A4블록의 총 사업비는 9831억원에서 1조2608억원으로 28.8%(2777억원) 뛰었다.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가 임기 내 270만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렵다는 지적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2023년 42만9000가구를 인허가했고, 24만2000만가구가 착공했으며 준공 물량은 43만6000가구였다”며 “지난해에도 경기가 어렵고 금리 등 하방성이 있었지만 공공부문에서 견인한 측면이 있어 2023년을 상회하거나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