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야탑 화재 인명피해 최소인 이유…닫힌 방화문이 유독가스 확산 막아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입력 2025.01.04 09:33
수정 2025.01.04 09:34

화재경보 울리자 신속히 옥상과 지하층으로 대피

소방당국 신속히 출동해 효과적 구조활동 펼쳐

3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한 복합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해 불길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 ⓒ연합뉴스

3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복합상가건물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고 연기흡입 등 경상자 소수로 인명피해가 적었다. 이 요인으로 연기와 유독가스의 실내 확산이 효과적으로 차단된 점이 꼽히고 있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건물 1층에 위치한 식당 주방에서 시작된 불은 주방 덕트(배기구)를 통해 새빨간 화염으로 변해 삽시간에 큰불로 번졌고, 검은 연기는 8층짜리 건물을 집어삼킬 듯 매서운 기세로 외벽을 타고 높게 피어올랐다.


불을 목격한 시민들은 메케한 연기에 코와 입을 막고 주변을 벗어나려 하면서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쩌냐"고 발을 구를 정도였다.


이용객이 많은 복합상가건물에서 발생해 참사가 우려됐지만 다행히 화재는 1시간만에 진압됐고 사망자와 중상자는 단 1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소방당국이 초진 완료 후 공개한 사진을 보면 건물 내부에 검게 그을린 벽면이 잘 보이지 않는 등 화재 연기가 많이 유입되지 않은 것을 알수 있다.


초진 이후 촬영된 BYC 건물 2층(왼쪽)과 5층 내부(오른쪽)ⓒ경기소방재난본부


불이 시작된 1층 바로 위층인 2층 내부는 물론 3층, 4층 복도 벽면은 연기에 그을린 부분이 거의 없었고 5층과 6층 복도도 벽면이 하얀 상태로 남아있다. 화재때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소량만 흡입해도 의식을 잃을 수 있는 데다가, 연기가 통로에 확산하면 시야 확보가 어려워 대피가 힘들다.


소방 관계자는 "층마다 설치된 철제 방화문이 닫혀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정도 화재 규모로 봤을 때 방화문이 열려있었다면 다량의 검은 연기가 실내를 가득 채워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밖에서 보인 검은 연기에 비해 실내에 유입된 연기가 많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화재를 인지한 시민들의 신속하고 차분한 대피도 인명 피해를 줄인데 큰 역할을 했다. 건물 지하 1층에 있는 수영장 보조강사는 수영장 관계자의 "불이야" 소리에 비상계단을 이용해 아이들과 지하 5층으로 대피했다고 한다.


건물 6층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던 30대 직장인도 화재경보기가 울리자마자 동료들에게 이를 알린 뒤 다 같이 비상계단을 통해 옥상으로 피했다. 마침 건물 옥상 비상문도 열려 있어서 시민들의 대피를 도왔다.


지상층에 있던 일부 시민은 화재 직후 도착한 구조대원들의 안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연기가 모두 빠져나가는 등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질서를 지키며 탈출을 기다렸다.


3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한 복합건축물 화재 현장에서 사람들이 건물 밖으로 대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건물 외벽에 고가 사다리차가 투입되긴 했지만 1명씩 구조하려면 시간이 되레 오래 걸리기 때문에 연기 영향이 없었던 건물 내부 특성을 고려한 구조대원들의 안내에 따라 기다림을 선택한 것이다.


이밖에 소방당국이 구조장비 19대와 구급장비 28대 등 소방장비 84대를 동원하고 인원 260여명을 투입하는 등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에 주력한 점도 대규모 인명피해를 막는 데 큰 힘을 보탰다.


성남시는 소방당국의 저체온증 방지를 위한 방한 모포 80개 지원 요청에 신속히 물품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날 화재는 오후 4시 37분께 분당선 야탑역 인근 지하 5층, 지상 8층 규모의 BYC 빌딩에서 발생해 1시간여 만인 오후 6시 1분께 모두 꺼졌다.


이 불로 130여명이 연기를 흡입했고 이 가운데 30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는데 대부분 경상으로 알려졌다.


구조 인원은 240여명이고 70여명은 스스로 대피했다. 구조자들은 옥상 150명, 지상 6층 20명(업무시설), 지상 5층 20명(업무시설), 지하 1층 20명(수영장), 지하 5층 30명(주차장) 등으로 분산돼 있었다. 자력 대피한 70명은 걸어서 건물 바깥으로 나오는 등의 방법으로 탈출했다.

김인희 기자 (ih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