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에 ‘밸류업’ 은행株도 흔들...투심 악화 우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입력 2024.09.08 07:00
수정 2024.09.08 12:59

KRX은행지수, 외인 매도에 9거래일간 6.6%↓

당국 가계부채 관리 압박에 투심 위축 영향

일시적 차익 실현 분석도…“반등동력 지속”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된 후 첫 영업일인 지난 2일 오후 서울의 한 시중은행의 대출창구가 한산한 모습이다.ⓒ연합뉴스

밸류업 프로그램의 대표적 수혜주로 꼽히는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압박으로 규제 확대 우려가 커지면서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커진 매도세가 지속될 지가 관건으로 떠오른 가운데 지나친 우려는 금물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은행 지수는 최근 9거래일 동안(8월27일~9월6일) 6.60%(941.74→879.58) 하락했다. 같은 기간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로 주가가 급락했던 코스피지수의 하락률 5.70%(2698.01→2544.28)에 비해서도 낙폭이 크다.


KRX은행 지수의 주가를 끌어내린 것은 외국인이다. 외국인은 최근 9거래일간 하나금융지주를 1179억원 순매도했는데 외국인이 코스피시장에서 많이 내다 판 종목 5위에 해당한다. 외국인은 KB금융(-566억원), 메리츠금융지주(-193억원)도 팔아치웠고 이 종목들은 각각 코스피 외인 순매도 상위 10위와 18위를 기록했다.


앞서 은행주는 올해 초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대표적인 저(低)PBR(주가순자산비율)주로 주목 받으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연초 이후 지난달 26일까지 KRX은행 지수의 상승률은 37.83%(683.24→941.74)에 달한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가 1.61%(2655.28→2698.01) 오르는 데 그친 것을 감안하면 은행주는 높은 상승세를 구가했던 셈이다.


이렇듯 은행주에 대한 분위기가 갑자기 급변한 데는 가계대출에 대한 금융당국의 강한 압박이 작용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7일 “가계대출 증가액이 경영 계획을 초과한 은행은 내년에 은행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 목표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이에 가계부채 관리 목표를 초과한 은행에 ‘페널티’를 부과한다는 방침에 은행들은 각종 가계대출 규제 방안을 내놨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25조3642억원으로 7월 말(715조7383억원) 대비 9조6259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68조6616억원으로 7월 말(559조7501억)보다 8조9115억원 늘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브리핑을 하고 있다. ⓒ 뉴시스

이미 금융당국은 이달부터 가계의 대출 한도를 더욱 줄이는 스트레스 DSR 2단계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가계부채 증가세가 잡히지 않을 경우 추가 조치를 시행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낸 상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6일 정부의 획일적 통제보다 은행권의 자율적인 대출 관리가 우선이란 입장을 보이면서도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는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예상되는 추가 조치로는 DSR적용 범위 확대 및 DSR 한도 하향 조정이 우선 거론되고 있고 스트레스 DSR 3단계 조기 시행과 담보인정비율(LTV) 규제 강화는 최후 수단으로 꼽힌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규제 강화로 인해 은행주에 대한 투심이 더욱 약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밸류업 정책 효과가 다소 반감된 상황에서 규제 강화에 따른 실적 악화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올해 주가가 급등한 은행주에 규제 이슈가 발생하면서 외국인의 일시적인 차익실현 심리를 자극한 것인 만큼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은행주는 가계대출 규제에도 기업대출 성장만으로 4% 내외의 총대출 성장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에서 성장률 둔화 우려를 지나치게 할 필요는 없다”며 “최근 은행주의 하락은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 때문으로 밸류업 기대감만 훼손되지 않는다면 반등 동력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