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발 예고 북한 '잠잠'…한미, 서해서 육·해·공군 합동훈련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입력 2023.10.27 03:30
수정 2023.10.27 03:30

美전략자산 한반도 전개 이어

각급 훈련 통한 억지력 과시

북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지난 5월 31일 서해상에 추락한 지 보름 만에 군 당국이 관련 일부 잔해를 인양해 공개하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군사정찰위성 3호기를 이달 중 발사하겠다고 공언했던 북한이 '침묵'을 이어가는 가운데 우리 군은 서해에서 미군과 함께 육·해·공군 합동훈련에 나섰다.


미 전략자산의 연이은 한반도 전개에 이은 각급 훈련을 통해 동맹 차원의 강화된 대비태세를 과시했다는 평가다.


해군은 26일 합동참모본부가 주관하는 '2023 호국훈련' 일환으로 지난 24일부터 충남 태안 서쪽 해상에서 육·해·공군 합동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군은 "적 도발에 대비해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을 향상하고 군사대비태세를 확고히 하기 위해 27일까지 태안 서방 해상에서 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규모 해상 기동을 동반한 이번 훈련에는 이지스함 율곡이이함(DDG)을 비롯한 함정 30여 척과 P-3 해상초계기, AW-159 해상작전헬기 등 해군 전력을 중심으로, FA-50·F-4E 등 공군 전투기와 육군 해안경계부대가 참여했다.


특히 미군 전력인 해군 P-8 해상초계기, 육군 아파치헬기 등도 참가해 북한 침투를 가정한 훈련 등을 진행했다.


특수전 부대를 태우고 서북도서 및 서해안으로 고속 침투하는 적 공기부양정 등의 침투 전력을 신속히 탐지하고 격멸하는 대(對)특수전부대작전과 북방한계선(NLL) 국지도발 대응작전, 해양차단 작전 등을 실시했다는 설명이다.


해군은 "한미 참가전력은 부여된 상황에 맞춰 상호 정보 교환과 실제 기동을 통해 작전 절차에 숙달하는 등 실전적 훈련으로 연합·합동 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31일 서해상에 추락한 북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 장면(자료사진) ⓒ조선중앙통신

북한은 그간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각종 훈련 등에 민감히 반응하며 도발 카드로 맞대응해 왔지만, 최근 들어선 군사행동을 삼가는 분위기다.


특히 이달 중으로 위성 3차 발사에 나설 것이라고 공언한 것과 달리, 관련 징후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위성 발사 관련 동향이 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따로 설명드릴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북한이 위성을 연거푸 발사해 온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선 관련 징후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동안 위성발사는 다른 미사일 발사와 달리 변칙적으로 장소를 바꿔서 하지 않았다"며 "서해위성발사장 동향을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상적으로 사전 징후가 있을 수 있고 그동안 (발사 계획을) 국제기구에 사전 통보해 왔다"고 덧붙였다.


북한 위성에 액체엔진이 사용될 경우, 며칠이 소요되는 연료 주입 정황이 포착되기 마련이지만, 현재까지 특이동향은 없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물론 북한이 최근 개발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고체엔진을 활용할 경우 빠르게 3차 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평가도 적잖다.


다만 어떤 엔진을 활용하든 북한이 '우주의 평화적 이용권리'를 강조해 온 만큼, 발사 일정을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사전 통보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의 사전 통보 여부와 관련해 "IMO로부터 관련 소식을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90년대에 사전 통보 없이 한 차례 위성을 발사한 바 있다면서도 "현재까지 위성발사장 동향이나 국제사회 통보 동향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