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결혼하기 싫다②] "결혼은 현실, 그래도 하는 게 낫다"
입력 2021.12.22 05:10
수정 2021.12.21 17:51
결혼 찬성론자들 "결혼하면 손해고, 주변에 드물지만…결혼해서 얻게 될 가치 훨씬 커"
"나이 먹으면서 생기는 사회적 보호자 부재 측면에서 생각하면 배우자 필요할 듯"
전문가 "경제적 안정감 사라져 이른바 3포·5포 세대 속출…결혼 안하는 게 아니라 못하는 것"
"남녀 성별 간 갈등도 비혼 원인…서로 간 적대시·부정적 감정이 결혼율·출산율 저하시켜"
청년들은 비혼의 주된 이유로 집값 폭등과 전세난, 노후보장이 불확실한 미래 등 경제적인 원인을 많이 언급했다. 또 결혼 뒤에 오는 구속 및 압박이나 시댁과의 다툼, 가정폭력 등 가족관계 갈등도 결혼을 망설이게 하는 장애물로 꼽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은 해야 한다는 젊은 이들의 입장도 만만치 않았다.
서울 강남구에 거주하는 한모(33.남)씨는 "미래를 함께 할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기에 2년간 사귄 여자친구와 결혼을 앞두고 있다"면서 "요즘은 결혼하면 손해고 주변에서도 결혼한 친구가 손가락에 꼽을 정도지만, 개인적으로는 결혼해서 얻게 될 가치가 훨씬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대 때부터 저축한 돈과 시에서 지원하는 신혼부부 전세대출로 15평 아파트에서 시작하게 됐다"며 "형편이 더 어려웠던 윗세대보다는 출발이 나은 셈이다. 맞벌이하면서 노력하면 언젠가 내 집 마련의 꿈도 이뤄내고 아이 양육도 잘 해낼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동대문구에 사는 김모(28.여)씨는 "가족이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만족스럽지 못했던 안정감을 연인에게서 찾는 경우 결혼을 결심하는 것 같다"며 "미혼의 삶은 자유로워서 좋지만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나이를 먹으면서 생기는 사회적 보호자의 부재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배우자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다만 김씨는 "주변 사람들 대부분이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거나 안정적인 직종에 있을 때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는 것을 보면서 결혼은 현실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한마디로, 경제적 안정감이 사라진 것이 비혼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남녀 성별 간 갈등도 비혼의 한 원인으로 꼽았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젊은 사람들의 가치관이 바뀌어 그렇다는 주장도 있지만 일자리와 주거가격의 불안정함이 결정적인 이유다"며 "고용률의 감소와 취업난에 대한 통계가 청년들이 결혼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못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특히 20대의 고용률을 보면, 비정규직의 비율이 훨씬 높고 대기업 정규직은 10%도 안되는데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고용으로 경제적 안정감이 사라짐으로 결혼은 커녕 연애도 제대로 못 하는 경우가 즐비하다"며 "이른바 3포·5포세대 용어가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이 데이트폭력과 같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결혼 후 시댁이나 가족과의 갈등 사이에서 오는 문제 등에 대한 우려로 상대에게 거부감이 생기면 결혼 문제에서부터 막히게 되는 것이다"며 "반면, 남성의 입장에서도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 여성들에 대한 거부감과 혐오가 굉장히 큰 상태"라고 진단했다.
구 교수는 "이런 여건과 현상들이 남녀 젊은 이들이 서로를 적대시하고 서로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만 쌓이게 만들었다"며 "남녀가 서로 등지고 갈등하게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결혼율과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만들어낸 셈"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