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EU, 해상 환경규제 고삐…조선사 '맑음' 해운사 '흐림'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입력 2020.10.06 16:23 수정 2020.10.06 16:2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해운으로 확대…규제 확대 방침 시사

조선사, LNG추진선 신규수주 기대…해운사, 노후선 교체 압박 거세질 듯

현대삼호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건조한 LNG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현대중공업그룹 현대삼호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건조한 LNG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현대중공업그룹

유럽연합(EU)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해운업으로 확대하며 해상 환경규제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은 친환경 선박 수주 기회를 잡는 반면, 해운사들은 노후선 교체 압박을 강하게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EU의회는 2022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해운으로 확대시키는 내용의 규제안을 지난달 15일 가결했다. 거래제 대상은 유럽경제지역 항만에 기항하는 5000GT(총톤수) 이상의 선박들이다. EU는 앞서 2018년 5000GT 이상의 모든 선박에 선박 연료사용량, 운항거리 및 시간, 운송업무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EU 제출하도록 의무화하기도 했다.


이번 규제안은 스크러버 배출 오염수 저감 등 포괄적인 해상 환경규제 방안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어 추가적인 규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이번에 결정된 조치를 향후에는 400~5000GT 이하 급 선박까지 확대 적용을 고려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업계는 수주 가뭄에 시달리는 국내 조선사들에게 환경규제 강화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노후선의 조기 폐선을 유도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 신규 발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LNG 연료 추진선은 기존 석유계 연료선에 비해 매연과 이산화황 배출이 거의 없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20% 이상 감축해 강화되는 환경규제의 대안으로 꼽힌다.


특히 국내 조선업계는 글로벌 LNG추진선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2016년부터 벌크·탱커·컨테이너선 등 다양한 선종에서 총 44척의LNG추진선을 수주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주 실적이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도 각각 22척, 8척의 LNG추진선을 수주했다.


정기대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 조선업계는 탄탄한 기본설계능력과 뛰어난 건조기술력을 보유해 한중일 LNG추진선 수주 경쟁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LNG추진선 글로벌 수요는 앞으로 계속 급증해 10년간 2500~3000척의 발주가 예상되며, 우리 조선업계가 리더십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LNG-FSRU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LNG-FSRU ⓒ대우조선해양

반면 국내 해운업계는 해상 환경규제가 강화될수록 경영 부담도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연료 가격 재상승 시기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 시기가 겹칠 경우 노후선은 연료비 증가와 배출권 비용 발생의 이중부담을 져야하는 탓이다.


국제 독립탱커 선주들의 연합체인 인터탱코는 EU의 이번 규제안으로 선사들이 연간 34억유로(약 4조6000억원) 에 달하는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해 유럽 역내에 기항한 선박들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1억3570만t이고, 배출권 가격을 t당 25유로로 계산하면 이같은 계산이 나온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의 선박들은 평균 선령이 비교적 높은 탓에 선사들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2019 선주협회 해사통계집'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평균 선령은 14.1년으로 10대 해운국 중 15.3년인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일본 보유선박의 평균 선령은 8.9년, 독일은 12년, 중국은 11.8년이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평균 선령이 높은 한국 해운사들은 다가오는 환경 규제에 불리하고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은 교체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지난 10여년간 지속된 해운 불황으로 재무적인 투자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