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조선3사, 똑똑한 선박으로 'K-조선' 새 전성기 연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입력 2020.10.04 06:00 수정 2020.09.29 17:07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잰걸음…2025년 시장규모 181조원 전망

선박운영 안정성·신뢰성·효율성·친환경 제고…“기술확보, 범국가적 지원 필요”

현대중공업의 항해 지원 시스템 ‘하이나스(HiNAS)’ 실행 화면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의 항해 지원 시스템 ‘하이나스(HiNAS)’ 실행 화면 ⓒ현대중공업

코로나19 사태로 조선업계 불황이 장기화 되는 가운데, 조선 3사는 선박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자율운항선박을 앞세워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자율운항선박 기술은 선박이 지능화된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제어·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국제해사기구는 자율운항선박 기술을 '선원 의사결정 지원(1단계)‘, ’선원 승선 원격제어(2단계)‘, ’선원 미승선 및 원격제어(3단계)‘, ’완전무인 자율운항(4단계)‘로 구분하며 4단계를 궁극적인 완전자율운항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4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어큐트마켓리포츠에 따르면 자율운항선박 및 관련 기자재 시장은 연평균 12.8% 성장해 오는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1550억달러(한화 약 18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자율운항선박은 기존의 선박과 차별화된 강점을 다수 지니고 있어 미국, 일본, 중국 등 글로벌 조선사들은 서둘러 관련 기술 개발에 뛰어든 상황이다.


자율운항선박은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실수를 최소화하고 우수한 해기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 선박운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선박 장비와 시스템 상태를 감지하고 장애를 미리 예측해 선박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도 가능하다. 최적 항로를 분석해 선박운영 및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등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고, 최적 연비 및 최소 에너지로 이동해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스마트 선박 솔루션 ‘DS4(DSME Smart Ship Platform)’가 탑재된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코펜하겐’호의 운항모습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의 스마트 선박 솔루션 ‘DS4(DSME Smart Ship Platform)’가 탑재된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코펜하겐’호의 운항모습 ⓒ대우조선해양

국내 주요 조선사들도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한국과학기술원과 공동 개발한 첨단 항해 지원 시스템 ‘하이나스(HiNAS)’를 SK해운의 25만t급 벌크선에 탑재했다.


하이나스는 인공지능으로 선박 카메라를 분석해 주변 선박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충돌 위험을 판단한다. 야간이나 안개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해 장애물 위치와 속도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5월 독자 개발한 스마트 선박 솔루션 ‘DS4(DSME Smart Ship Platform)’를 자사가 건조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코펜하겐호'에 탑재했다. 선주는 DS4를 이용해 육상에서도 항해 중인 선박의 메인 엔진, 공조시스템, 냉동컨테이너 등을 원격으로 진단해 선상 유지·보수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자체 개발한 스마트 선박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을 2018년부터 자사가 수주한 모든 선박에 적용하고 있다. 에스베슬은 최적의 연비를 낼 수 있는 운항 경로와 엔진 출력, 선박 기울기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각 사는 앞으로 통신사·연구기관 등과 공동연구를 펼쳐 선박 솔루션 기술을 지속 발전시킨다는 계획이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없이는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지난 6월 발간한 자율운항선박 기술동향 보고서를 통해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R&D)은 주요 사업과 프로젝트를 통해 꾸준히 지원됐지만 사업 간 협력은 이뤄지지 못했다”며 “통합적인 시각의 R&D 투자도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또 “유럽을 중심으로 마련되는 해사 관련 법·제도에 대한 대비도 충분치 않은데 이는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라며 “공학적 영역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제도 및 표준 정비, 협력체계 구축 등 범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