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평양선언 2주년] 문대통령, 남북관계 반전 계기 만들까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입력 2020.09.19 06:00 수정 2020.09.19 05:21

北, 6월 연락사무소 폭파 후 강경 기조…文 제안에 '무응답'

18일 언급 이어 22일 유엔 연설…한반도 대화 모멘텀 기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9월 19일 오전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합의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9월 19일 오전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문에 서명한 후 합의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뉴시스

19일로써 9·19 평양공동선언 2주년을 맞았지만, 남북관계는 여전히 꽁꽁 얼어있다. 북한을 향해 '대화' 제안을 거듭해 온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다시 진전시키기 위한 해법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청와대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대북 메시지를 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문 대통령은 전날 불교계 지도자들과 만나 "만남과 대화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평화와 통일의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남북 사이의 기류가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평양정상회담 등이 잇따라 열린 2년 전과 사뭇 달라졌다는 점을 의식한 발언이다.


그간 문 대통령은 '한반도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며 북미관계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남북관계 진전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여왔다. 문 대통령의 임기 중 최대 성과로도 남북 문제가 제일 먼저 꼽혔다.


하지만 북미관계는 물론 남북관계는 여전히 교착 상태다. 문 대통령이 지난 7월 1일 "미국 대선 이전에 북미 간 대화 노력이 한 번 더 추진될 필요가 있다. 북미가 다시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누도록 한국은 전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한 것은 한반도의 대화 모멘텀을 위한 시동 걸기로 읽혔다.


그러나 여전히 북한은 '무응답'이다. 문 대통령의 철도 협력, 개별 관광 등 독자적 남북 협력사업 제안에도, 이인영 통일부 장관의 지난 16일 남북 대화 촉구 및 이산가족 화상상봉 등 '판문점 제안'에도 별 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이 어떤 방식, 어떤 메시지로 남북관계의 구심력을 되살릴지 관심이 모인다. 우선 문 대통령의 오는 22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이 주목된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관심을 당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가에서는 문 대통령이 새로운 대북 제안을 내놓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전날 '대화' 발언은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직접 보낸 공식 형태의 제안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조 연설을 통해 반전의 계기를 만들려는 시도를 할 거란 예측이 나온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와 미국 대선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유엔총회 기조연설이 마지막 대북 제안일 것"이라며 "이를 통해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청와대 NSC 상임위원회는 서훈 국가안보실장을 주재로 회의를 열고 평양공동선언 2주년을 맞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에 논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서 실장·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인영 통일부 장관 등 '북한통'을 전면 배치하는 등 북한의 유화 제스처를 취한 바 있다. 다만 문 대통령의 대북 제안에도 북한이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 6월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후 대남 강경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고수정 기자 (ko072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