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기업 3곳 중 1곳,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도 무대책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입력 2020.05.31 11:00 수정 2020.05.31 09:47

전경련, 매출액 1000대 기업 대상 글로벌 공급망 변화 인식 조사

기업 56,7%, 글로벌 공급망 타격 영향...車업종 3분의 2 차질 경험

리쇼어링 촉진 위해선 세제·R&D지원 강화 및 노동규제 완화 필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비 기업 대응책.ⓒ전국경제인연합회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비 기업 대응책.ⓒ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 절반 이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 타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3곳 중 1곳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도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1일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 중 3분의 1 이상(37.4%)이 별다른 대비책이 없다고 응답했다.


그 뒤를 이어 대응책으로 공급망 지역적 다변화(21.2%)와 협력사 직접관리 및 네트워크 강화(20.2%)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비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국가 간 통상협력 강화와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 지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리쇼어링(Reshoring·해외 진출 기업 국내 복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세제혜택·연구개발(R&D) 지원 확대 등 기업 지원제도 강화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기업활동 차질을 경험한 기업은 응답기업 중 56.7%에 달했다. 산업별로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기업의 3분의 2(66.7%)가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기업활동 차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어서 기계 및 장비 제조업(57.1%)과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제조업(50.0%) 등 국내 주요 업종에서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인해 기업 2곳 중 1곳 이상이 기업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8.4%였다. 업종별로는 석유 및 석유화학 제조업(75.0%)과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제조업(66.7%)의 과반수가 현 공급망 체제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향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예상한 기업을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대책을 조사했더니 37.4%가 별다른 대비책이 없다고 응답해 변화를 예상하고 있음에도 3분의 1이 넘는 기업이 아직까지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공급망 지역적 다변화(21.2%) ▲협력사 관리 강화(20.2%)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13.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해외 생산기반의 국내 이전 등 리쇼어링을 고려하고 있다는 답변은 3%에 불과했다.


업종별로 보면 글로벌 공급망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 비율이 높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과 석유 및 석유화학 제조기업들은 공급망의 지역적 다변화(자동차 관련업 40%, 석유·석유화학 관련업 50%)를 가장 많이 대비책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부품조달 및 생산차질을 겪었던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지역적으로 다변화해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비한 대비책 수립시 기업들은 기업 관련 규제 등 제도적 어려움(24.3%)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자금력 부족(22.4%), 정보 부족(18.7%), 인력 부족(18.7%)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될 경우, 기업들은 정부 지원책으로 보호무역 기조 완화를 위한 국가 간 통상협력 강화(26.1%)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시설 디지털화·고도화 등 내부 공급망 역량 강화 지원(21.6%)와 기업관련 규제 완화(19.9%) 등의 정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의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리쇼어링과 관련, 기업들의 낮은 리쇼어링 수요를 높이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세제혜택·R&D 지원 확대 등 기업지원 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32.5%)했다. 뒤이어 노동규제 완화(24.8%), 판로개척 지원(20.1%), 리쇼어링 기업 인정 기준 확대(10.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주요국에서 중국에 집중돼 있던 글로벌 공급망을 분산하려는 움직임이 이미 시작됐다”며 “현 글로벌 공급망 체제 하에서 수출로 성장했던 우리 기업은 앞으로의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리쇼어링 수요 발굴과 유턴 인센티브 강화 등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의 리쇼어링 수요를 증가시키고 활성화시키려면 미국와 일본과 같은 과감한 지원과 동시에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해외로 이전한 기업을 대상으로 핀셋 지원을 통해 유턴 시 국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