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5대 은행, 1년 넘게 밀린 '악성 연체' 6천억 돌파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입력 2021.09.28 06:00 수정 2021.09.27 10:44

금융지원 속에서도 취약 차주 점증

'코로나 후 연착륙' 정밀 대책 시급

국내 5대 은행의 연체 1년 이상 대출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5대 은행의 연체 1년 이상 대출 추이.ⓒ데일리안 부광우 기자

국내 5대 은행이 내준 대출에서 상환이 1년 넘게 밀린 악성 연체 규모가 6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시행된 금융지원 정책으로 전반적인 대출 연체는 눈에 띄게 줄었지만, 그 속에서 장기간 빚 상환에 시달리는 이들은 오히려 늘어나는 모습이다.


이제는 천편일률적인 정책 지원의 틀에서 벗어나 코로나19 이후 취약 계층의 연착륙에 대비할 수 있는 세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개 은행이 보유한 대출 가운데 연체 기간이 1년을 넘은 금액은 총 60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 보면 흐름은 다소 엇갈렸다. 우선 농협은행의 연체 1년 초과 대출은 1475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7.4% 줄긴 했지만, 여전히 조사 대상 은행들 중 최대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하나은행의 관련 액수가 1400억원으로 85.4% 급증하며 뒤를 이었다.


이밖에 신한은행 역시 1268억원으로, 우리은행도 1238억원으로 각각 14.2%와 7.5%씩 관련 금액이 늘었다. 국민은행의 연체 1년 초과 대출은 666억원으로 27.7% 감소했다.


반면 은행 대출 전체의 연체는 빠른 축소 흐름을 보이고 있다. 장기 대출 연체의 확산에 더욱 시선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실제로 5대 은행의 대출에서 1개월 이상 상환이 미뤄지고 있는 대출은 2조9154억원으로 15.3% 줄었다.


◆엿가락 정책 부작용 우려


코로나19 장기화에도 이처럼 대출 건전성이 개선될 수 있는 배경에는 정책적 지원이 자리하고 있다. 금융권은 지난해 초부터 정부의 방침에 따른 금융지원을 시행 중이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개인과 기업 차주의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을 유예해주는 내용이 핵심이다. 돈을 갚지 못해 연체로 이어질 수 있는 대출이 수면 아래에 억눌려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런 금융지원 정책에도 장기간 빚을 갚지 못해 발생하는 악성 연체는 오히려 몸집을 불리고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서는 막연한 지원 연장을 넘어, 코로나19 이후를 염두에 둔 실질적 대안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확산돼 왔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기존 정책의 연장 카드를 또 다시 꺼내 들었다.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처음 시작된 건 지난해 4월이다. 애초 6개월 동안 한시적으로 시행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19 국면과 함께 정책 만료가 내년 3월까지 미뤄지게 됐다.


금융권에서는 이대로 대출 상환이 계속 지연되면 코로나19 이후에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금융지원 정책이 끝나고 대출을 갚아야 할 때가 오면, 그 동안 빚이 누적된 탓에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서다.


은행권도 일시적으로 자금난을 겪는 차주에게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정책 취지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하지만 이자 유예만이라도 다시 한 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자는 낼 수 있지만 원금의 만기라도 미뤄달라는 사례와 당장 이자도 못 내겠다는 차주는 상황이 크게 다를 수 있는 만큼, 코로나19 금융지원을 단순한 잣대로 일괄 적용하기 보다는 차주별로 상환 여력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