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포스코, 영업익 3조원대 추락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종합)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입력 2020.01.31 17:16 수정 2020.01.31 17:17

지난해 영업익 3조8689억원...4년 만에 감소세

신종 코로나 여파 “중기적으로는 큰 위험이 없을 것”

2019년 포스코 경영실적 ⓒ포스코 2019년 포스코 경영실적 ⓒ포스코

포스코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2015년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올해 포스코는 판매 단가 인상,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등으로 실적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31일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0.2% 감소한 3조8689억원이라고 공시했다. 2015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로 2018년에는 7년 만에 영업이익 5조원대를 기록했으나 1년 만에 3조원대로 무너졌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56% 감소한 5576억원으로 떨어졌다. 이로써 포스코는 10분기 만에 분기 영업이익 1조원 달성에 실패했다.


이날 포스코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실적 부진에 대해 “철광석 가격 급등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과 판매가격 하락으로 영업이익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4분기가 생각보다 부진한 이유에 대해서는 “마케팅 영향이 가장 크다”며 “원료가격 과점화도 됐고, 원료가격 인상분을 충분히 가격에 반영할 수 없었던 시장특성도 영향이 있다”고 밝혔다.


수익성에 영향을 주는 올해 철광석 가격 전망과 관련해서는 "연간 80~85달러 수준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가격이 예년보다 강세였으나 중국 행정 규제 강화 등 철광석 공급 차질 지속으로 예년 수준으로 회복하긴 어렵다"며 "다만 올해 1분기 기준으로는 85~90달러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1분기 수요처와 가격협상 전망에 대해서도 밝혔다. 포스코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가격이 지난 11월 저점 이후 반등해 중국과 일본이 열연 및 후판 가격을 인상했고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의 제품가격이 상승했다"며 "우리도 판매가격 인상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요 제품가격은 1분기 저점 형성 후 2분기부터 올라갈 것"이라면서 "현재 협상이 시작 단계이지만 조선 및 자동차 등 수요가에 가격 현실화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수익 개선을 위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포스코는 “자체 프리미엄 제품인 WTP(월드톱프리미엄)제품 등을 확대할 것”이라며 “불황에 대비한 포스코 특화 제품들이라고 생각해 달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포스코는 WTP 제품의 사상 첫 1000만톤 판매를 돌파하며 실적 개선으로 그룹 영업이익 감소폭을 최소화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와 관련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여파가 있으나 중기적으로는 큰 위험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스코는 "중국이 휴무를 2월9일까지 연기한 상황이라 단기적으로는 수요 위축이 예상된다"며 "우한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품 출하에 이상이 없는데, 자동차 등 수요산업 추가 가동 중지로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안정화나 수요 회복을 위해 중국 정부도 후에 경기부양식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며 ”휴무 이후 자동차 등 생산계획이 수립되면, 중기적으로는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철강회사의 중요 관리항목 중 하나인 탄소배출권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탄소배출권은 약 280만 톤 정도 부족했지만 전년에 넘어온 잉여 배출권이 있어 괜찮았다"며 "올해도 지난해 연말에 잉여로 이월시킨 것이 있어 특별히 부족하진 않을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콜에서는 부진한 업황에 따른 한국 철강산업 구조조정 필요성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이에 대해 전중선 포스코 전략기획본부장(부사장)은 “한국 철강업은 자동차나 주요산업이 부진하고 수출장벽이 높아 수출확대에 한계가 있는 등 어려움이 있기에 구조조정 필요성이 있다는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중국,일본 등은 이제 단일 시장으로 봐야하는데 중국은 국가 중심으로 대형화, 일본은 정부의 제도적 지원 힘입어 고로사 3개사로 구조조정이 완료됐다”며 “한국도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산업이 그렇듯 구조조정 필요성 방향은 정부의 지원과 공감이 뒷받침돼야 속도를 낼 수 있다”고 했다.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