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82년생 김지영 공격은 자살골이다

하재근 문화평론가
입력 2019.11.01 08:20 수정 2019.11.01 07:18

<하재근의 이슈분석> 가사와 육아, 여성의 사회활동 신체제 구축 시급

<하재근의 이슈분석> 가사와 육아, 여성의 사회활동 신체제 구축 시급

지난 9월 30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열린 영화 '82년생 김지영' 제작보고회에 정유미, 공유, 김도영 감독이 자리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지난 9월 30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열린 영화 '82년생 김지영' 제작보고회에 정유미, 공유, 김도영 감독이 자리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영화내용 있음)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소설을 상당 부분 영화로 옮겼다. 하지만 소설보다 더 흡인력이 강하다. 작가가 조사한 사례들을 나열한 느낌이 강했던 소설에 비해 영화는 드라마가 더 극적으로 구성됐다.

무엇보다도 한국 관객이 사랑하는 감동 눈물 코드가 있다. 여기에 웃음만 더했으면 상업적 폭발력이 더 컸을 것이다. 웃음은 없지만 공감과 사회적 화제성이 있다. 그런 요소들에 감동 눈물이 더해졌기 때문에 흥행이 순항할 걸로 예측된다.

영화에서 주로 강조되는 것은 주부이자 어머니인 주인공의 상실감이다. 사회활동을 하려고 하지만 여자라서 하지 못한다. 주인공의 어머니도 교사가 꿈이고 공부도 형제 중에서 가장 잘 했지만 남자 형제들 학비 대느라 공장에서 일했고, 결혼한 후엔 자식들 키우느라 사회활동을 못했다.

주인공도 자식을 키워야 하기 때문에 사회활동을 하지 못한다. 거기에 가사일 전담과 시월드 문제가 겹친다. 가사일하는 주부를 하찮게 보거나, 아기들을 귀찮은 존재로 보는 사회 시선도 문제다. 아기와 동행한 양육자가 편하게 다닐 수 있는 편의 시스템도 부족하다.

사회활동을 하더라도 회사에선 결혼하고, 집안일하고, 아기를 낳아 키울 여자라서 불이익을 당한다. 승진이나 부서 배치 등에서 차별을 당하는 것이다. 회사일에 몰두하려면 아기와 집안일을 방치해야 한다. 이러면 자식 방치한 독한 여자라는 시선이 돌아오고, 만약 자식이 아프거나 공부를 못하거나 문제를 일으키면 엄마는 죄인이 되어 지탄을 받는다.

이런 구조에서 여성은 자식과 가정에 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내용에 여성들이 폭발적인 공감을 보내고 있다.

반면에 영화를 비난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 작품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비난이 집중됐고, 개봉된 지금 현재도 비난 여론이 극렬하다. 여성 관객들의 지지와 반대 세력의 공격이 교차하는 것이다. 소모적 논란에 시간만 흐른다.

우리가 지금 그렇게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육아와 가사일, 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한 이 영화의 문제제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새로운 시스템을 모색할 때다. 여유가 없다.

유기체에선 세포가 교체된다. 옛 세포가 사멸하고 새 세포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새 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죽음이다. 우리 상황이 그렇다. 우리 공동체에선 새 생명이 급격히 줄어든다. 우리 공동체가 죽음의 길로 접어든 것이다. 인구가 본격적으로 줄어드는 시점이 되면 당장 경제부터 위축이 되고 국력이 빠르게 쇠락할 것이다.

많은 여성들이 ‘82년생 김지영’에 공감하는 지금 상황에선 새 생명이 나타나기 힘들다. 여성들에게 새로운 욕망이 생겼기 때문이다. 과거엔 가사일, 육아를 여성이 전담하는 걸 당연하다고 여겼다. 여성이 현모양처를 욕망했다. 지금은 여성에게 사회활동을 하려는 욕망이 생겼다. 그게 가사일, 육아의 여성 전담이라는 기존 시스템, 관념과 충돌하면서 도처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과거 관념으로 돌아가는 건 불가능하다. 조선시대처럼 성리학 같은 이데올로기를 활용하거나, 이란 호메이니 또는 IS처럼 종교로 욕망과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는데 우리 현실에선 불가능한 이야기다. 사회활동을 하려는 여성들의 욕망과 생각을 바꿀 방법이 없다는 이야기다. 시대가 그렇게 변해버렸다.

그렇다면 우리 체제가 바뀌어야 한다. 가사일과 육아에 대해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 부부 공동, 또는 사회 공동으로 이런 일들을 해결할 길을 찾아야 한다. 작게는 육아휴직을 눈치 안 보고 부부가 모두 쓸 수 있게 하는 것부터 시작해, 우리 사회 체제를 전면적으로 바꿔야 한다. 그래야 새 생명이 정상적으로 생기고 자라나 우리 공동체가 죽음을 면할 것이다. 쉬운 일이 아니다. 오랜 역사동안 남성의 사회활동 전담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제도, 관념, 욕망 등 문화를 몽땅 뜯어고치는 일이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그런 고민을 할 수 있는 좋은 계기다. 한시 바삐 신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위기상황에서 한가롭게 ‘82년생 김지영’ 공격과 논란으로 에너지를 낭비하며 시간을 흘려보내는 것은 우리 공동체의 자살골이다. 가사와 육아, 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한 신체제 구축이 시급하다.

글/하재근 문화평론가

하재근 기자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