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진로이즈백 공병 갈등에 환경부 나서나

최승근 기자
입력 2019.10.18 14:49 수정 2019.10.18 14:52

공병 재활용 놓고 하이트진로-롯데주류 의견 팽팽

환경부, 소주 업체 의견 수렴…다음주 실무회의 통해 자율합의 유도

롯데주류 강릉공장에 쌓여 있는 진로이즈백 공병.ⓒ롯데주류 롯데주류 강릉공장에 쌓여 있는 진로이즈백 공병.ⓒ롯데주류

하이트진로의 진로이즈백 소주병 재활용 문제를 놓고 주류업체 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다른 주류업체들도 녹색 소주병 외에 다른 병을 사용하고 있고, 당초 자율협약 대상도 녹색병에 한정됐던 만큼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반면 롯데주류는 유통 비중이 높은 1위 업체가 나서서 자율규약을 깨버리면 시장질서가 무너질 수 있다며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18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현재 롯데주류 강릉공장 등에 쌓여 있는 진로이즈백 공병은 350만병에 달한다.

주류 공병은 도매업자가 대형마트 등 유통매장이나 식당, 주점을 돌며 수거해 제조사로 보낸다. 플라스틱 박스에 일괄적으로 수거하기 때문에 자사 제품은 물론 경쟁사 제품도 섞이기 마련이다.

이 과정에서 공병 선별과 교환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류업계는 지난 2009년 6월 녹색 소주병의 공용화를 위한 자율협약을 체결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녹색 소주병을 소주 제조업체들이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써 공병의 회수와 재사용에 따른 추가비용을 줄이자는 의도에서다.

자율협약 이후 10년 간 업계는 녹색 소주병을 함께 사용해왔고 한라산, 청하 등 다른 모양의 병은 일정 수수료를 받고 해당 제조사에 돌려줘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해왔다.

그러다 올 들어 하이트진로의 진로이즈백 공병을 두고 하이트진로와 롯데주류 간 갈등이 발생했다.

하이트진로 측은 “2009년 자율협약 당시 공용화 대상은 녹색 소주병에 한정된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업체들도 다른 모양의 소주병 제품을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녹색병이 아닌 청하 공병의 경우 연간 1200만병을 롯데에 돌려주고 있다”며 “진로이즈백이나 청하 모두 공병 수집과 분류 과정은 동일한데 진로이즈백 공병에만 더 높은 수수료를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참이슬, 처음처럼 등 녹색 소주병과 색깔과 모양이 다른 소주 제품.ⓒ각사 취합 참이슬, 처음처럼 등 녹색 소주병과 색깔과 모양이 다른 소주 제품.ⓒ각사 취합

2009년 업계 자율협약에 앞서 하이트진로와 롯데주류(당시 두산주류)는 2008년 별도의 공병 반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 간 공병 반납 시 주류 도매상이나 공병 수집상과 같은 수준인 병당 10.5원의 수수료를 지급하기로 했다. 또 신규로 생산된 공병에 대해서도 반납에 협조하기로 했다.

보통 소주 원가에서 병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정도로 크기 때문에 주류업체들은 내용물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7~8회 정도 병을 재활용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롯데주류 측은 “기본적인 방침은 공병을 돌려주는 것이지만 업계 시장 질서를 위해 환경부의 판단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입장이다.

롯데주류 측은 “유통물량 비중이 높은 업계 1위가 나서서 자율협약을 위반하면 너도나도 협약을 위반하고 결국 유명무실한 약속이 될 수 있다”며 “공용병을 쓰도록 하는 현재의 제도를 유지할지 아니면 다른 모양의 병을 자유롭게 쓰도록 할지 주무부처의 판단을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청하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소주가 아닌 청주이고, 연간 공병 재활용 비중의 1% 안 되는 수준”이라며 “전체 수량의 약 65%를 차지하는 소주와 같은 수준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양사 간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주무부처인 환경부도 방안 마련에 나섰다. 지난주 국내 소주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서면을 통해 한 차례 의견을 수렴했다.

환경부 자원재활용과 관계자는 “지역 소주 업체들도 입장이 제각각인 상황”이라면서도 “공병 반납 수수료인 10.5원이 현재 기준으로 낮다는 데에는 대부분 동의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다음주쯤 업계 관계자들과 실무회의를 통해 입장차를 줄여 보려고 한다”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강요할 수는 없고 업체 간 자율협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