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계약포기? 서울 아파트 기다리는 사람은 따로”…분양권 억대 웃돈 여전

원나래 기자
입력 2019.05.22 06:00 수정 2019.05.22 06:04

분양권 거래량 증가세…“무순위 청약처럼 분양권도 현금부자 시장” 지적

분양권 거래량 증가세…“무순위 청약처럼 분양권도 현금부자 시장” 지적

국토교통부는 최근 과도한 무순위 청약 열기를 막기 위해 서울·과천·분당·광명·하남·대구수성·세종(예정지역) 등 투기과열지구의 청약 예비당첨자를 기존 80%에서 500%로 늘리기로 했다. 서울의 한 새 아파트 단지 모습.ⓒ데일리안 국토교통부는 최근 과도한 무순위 청약 열기를 막기 위해 서울·과천·분당·광명·하남·대구수성·세종(예정지역) 등 투기과열지구의 청약 예비당첨자를 기존 80%에서 500%로 늘리기로 했다. 서울의 한 새 아파트 단지 모습.ⓒ데일리안

높은 청약 성적을 기록한 서울 인기 아파트까지 대출 규제 등에 따른 미계약분이 나오면서, 현금부자들의 몫만 늘어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가 미계약분 청약에서 부는 이른바 '줍줍' 현상을 차단 한다며 사전 무순위 청약 제도를 개편하자 현금부자들의 관심이 분양권 시장으로 이동한 모양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과도한 무순위 청약을 견제하기 위해 서울·과천·분당·광명·하남·대구수성·세종(예정지역) 등 투기과열지구의 청약 예비당첨자를 기존 80%에서 500%로 늘리기로 했다.

2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5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 전매 거래 건수는 전날 기준 73건을 기록했다. 지난달 거래량은 115건으로 지난해 4월(82건)과 비교해 40% 이상 늘었고, 이달 분양권 거래량도 이미 지난해 5월 거래량인 56건을 넘었다.

서울 분양권 거래량은 3월 93건으로 전월(130건) 보다 떨어지며 주춤하는 듯했으나,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5월에도 거래량은 1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전문가들은 서울 청약시장에서 불던 ‘줍줍’ 열풍이 정국이 제도 개편으로 막히면서 분양권 거래 시장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쏠릴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은 공급 부족과 함께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 강남권 등 인기지역에 대한 관심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가 모여 있는 개포 지구 아파트 분양권은 억대의 웃돈(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

지난 2월 입주를 한 래미안 블레스티지 59㎡ 분양권은 지난달에도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분양 당시 8억1800만원 보다 3억원 넘게 올랐다. 2020년 9월 입주를 앞둔 개포동 ‘개포 래미안 포레스트’ 전용면적 59㎡ 분양권은 지난 1월 13억9339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분양가(11억1700만원)보다 1억7600만원이 더 오른 셈이다. 2021년 7월 입주 예정인 일원동 ‘디에이치 자이 개포’ 전용 84㎡ 역시 지난 2월 17억2117만원에 거래되며 분양가(13억8950만원)보다 3억2000만원 가량의 웃돈이 붙었다.

개포동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그동안 이 일대에는 노후 아파트가 많았으나 현재 재건축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라며 “정부 규제로 강남에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희소성은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이면서 앞으로도 현 시세에 맞춰 분양권에 웃돈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분양권 역시도 자금 동원 여력이 없는 실수요자들에게는 장벽이 높다. 때문에 무순위 청약 열풍처럼 현금부자들만의 시장이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잇따르기는 마찬가지다.

서울 선호 지역 새 아파트의 경우 프리미엄이 붙은 분양권이라도 구매하려는 현금부자들이 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대출규제”라며 “서울 강남과 같은 인기 지역의 아파트의 경우 높아진 대출문턱 등이 여전히 장벽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미계약분이 발생하고, 분양권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결국 대출 규제로 자금 여력에 못 버틴 미계약분과 분양권 매물이 발생하면 가점이 낮고 자금력이 좋은 현금부자들이 차지하게 되는 것”이라면서도 “다만 분양권 거래가 증가할 수는 있겠으나, 정부 규제가 계속되는 한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