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美 기준금리 또 올리는데" 금리인상 점점 멀어지는 한은

이미경 기자
입력 2018.06.13 06:00 수정 2018.06.13 10:02

한미 금리 역전차 확대시 부작용 우려

경기·물가 고려해 하반기에 금리인상

미국의 금리인상 행보가 점차 빨라지고 있지만 국내 경제상황 등으로 금리인상에 제동이 걸린 한국은행의 향후 통화정책방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금리인상 행보가 점차 빨라지고 있지만 국내 경제상황 등으로 금리인상에 제동이 걸린 한국은행의 향후 통화정책방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올해 3월에 이어 이달에도 금리인상을 추가로 단행한다.

오는 14일(한국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25bp) 올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이달 추가 금리인상 단행은 기정사실화되어 있고 하반기에 2차례 이상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금리인상 행보가 점차 빨라지고 있지만 국내 경제상황 등으로 금리인상에 제동이 걸린 한국은행의 통화정책방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7월 금리인상은 사실상 물건너갔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2일 창립 68주년 기념식에서도 당분간 금리인상을 고려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기념사에서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통화정책 완화정도 추가 조정여부를 신중히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을 조정할정도로 아직 대외적인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평가를 내놨다. 그러면서도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정상화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시했다. 이 과정에서 금융불균형이 커질 수 있다는 점과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여력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경기와 물가 상황만 놓고 본다면 오히려 금리인하를 고려해야하지만 현재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금융불균형에 따른 여파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통화정책 딜레마가 이전보다 확대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아직 통화정책 방향을 조정하기는 힘든 상황에서 미국과의 금리역전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지 여부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앞서 시장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으로 인한 외국인 자금의 썰물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시해왔다.

하지만 지난 3월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역전에도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국내로 유입되며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그럼에도 한미 금리 역전 차가 지금보다 더 벌어지면 외국인 자금 유출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거 사례를 비춰볼때 한미 금리역전 폭이 50bp(1bp=0.01%포인트)까진 제한적 영향만을 나타내지만 100bp까지 벌어지면 부작용이 급격히 커진다는 분석이 제기된바 있다. 앞서 국회예산정책처는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점검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한미 금리역전 폭이 100bp까지 벌어지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월평균 2조7000억원 정도 이탈했다고 분석했다.

미국 금리가 6월에 이어 하반기에도 몇차례 더 인상하면서 역전차가 지금보다 더 확대되면 외국인 썰물 현상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일어나기 전에 한은이 통화정책 운용에 변화를 시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에서는 한은의 7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매우 약해졌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라며 "올해 하반기에 금리인상 시그널이 나올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