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몽니' 부리는 北…회담 테이블 걷어찰까

이충재 기자
입력 2018.05.16 21:30 수정 2018.05.16 22:22

남북고위급회담 일방 취소에 韓美 예의주시

남북관계 속도조절 "회담 무산되진 않을 것"

북한이 16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응할지 여부를 "재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새벽 한미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훈련을 비난하며 예정된 남북고위급회담 취소를 통보한 뒤 내놓은 으름장이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북한이 16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응할지 여부를 "재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새벽 한미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훈련을 비난하며 예정된 남북고위급회담 취소를 통보한 뒤 내놓은 으름장이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북한은 16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응할지 여부를 "재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새벽 한미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 Thunder) 훈련을 비난하며 예정된 남북고위급회담 취소를 통보한 뒤 내놓은 으름장이다.

4.27남북정상회담 이후 평탄한 도로를 달려온 남북관계에 처음으로 균열이 발생한 셈이다. 각종 협상 때마다 몽니를 부려온 북한이 '본색'을 드러낸 만큼,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여정에 험난한 지형이 예상된다.

北 속내 예의주시…자극하지 않고 '신중론'

우리정부는 남북관계 속도조절을 염두에 두고 북한의 '진의'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일단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북측이 판을 흔드는 상황에서 대화무드를 깨지 않기 위해 신중론을 펴는 모습이다.

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정부는 판문점선언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고자 하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북측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조속히 회담에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특히 북측의 일방적 고위급회담 취소 통보에는 "유감"이라고만 했다. 북측을 최대한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대응한다는 의미다. 청와대는 "현재로서는 북한이 보내온 전통문의 정확한 뜻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측은 표면적으론 '강수'를 뒀다. 언제든 회담테이블을 박차고 나올 수 있다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북측은 표면적으론 '강수'를 뒀다. 언제든 회담테이블을 박차고 나올 수 있다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북한이 어렵사리 마련된 정상회담 테이블을 걷어차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북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궤도에서 이탈하면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체제마저 흔들리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자료사진)ⓒ데일리안 북한이 어렵사리 마련된 정상회담 테이블을 걷어차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북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궤도에서 이탈하면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체제마저 흔들리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자료사진)ⓒ데일리안

또 다시 '벼랑끝 전술'…"회담 뒤엎진 않을 것"

북측은 표면적으론 '강수'를 뒀다. 언제든 회담테이블을 박차고 나올 수 있다는 벼랑끝 전술의 일환이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를 구석으로 몰고 가 일방적인 핵포기만을 강요하려 든다면 우리는 그러한 대화에 더는 흥미를 가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동시에 미국의 고강도 압박에 '밀리지만은 않겠다'는 메시지로도 풀이된다. 실제 김 제1부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조미관계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가지고 조미수뇌회담에 나오는 경우, 우리의 응당한 호응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북한 내부결속용이라는 시각도 있다. 급격한 평화‧대화 분위기에 불만을 가진 군부 등을 의식한 전략적 대응이라는 분석이다. 뉴욕타임스는 15일(현지시각) "북한의 남북고위급회담 중지 통보는 미북정상회담이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는 걸 암시한다"고 지적했다.

그렇다고 북한이 어렵사리 마련된 정상회담 테이블을 걷어차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대부분이다. 북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궤도에서 이탈할 경우,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체제보장도 물 건너가게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이 중재자로 나설지 여부도 주목된다. 당장 오는 22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북미 간 이견을 좁히는 역할을 해야 하는 무거운 숙제를 안게 됐다.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핫라인'을 통해 직접 조율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