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52시간 단축 근무...유통·식품 제조업계 '온도차'

김유연 기자
입력 2018.05.16 06:00 수정 2018.05.16 08:59

백화점·대형마트·아울렛 등 유통업계 근로시간 단축 움직임 가속화

식품 제조업계, 추가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생산 차질 우려

근로시간 단축 법안 시행을 두 달 남짓 앞두고 유통업계와 식품 제조업계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올해 초부터 '워라밸'을 전면에 내세웠던 유통업계는 발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인 반면 생산비중이 높은 식품 제조업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추가 고용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 생산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서울 성수동 이마트의 모습. (자료사진)ⓒ연합뉴스 서울 성수동 이마트의 모습. (자료사진)ⓒ연합뉴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백화점, 대형마트, 아울렛 등 유통업계 근로시간 단축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손님이 많지 않은 시간대 근무를 과감히 줄여 효율을 높인다는 취지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3월 1일부터 시범적으로 영등포·경기·광주점 세 곳의 개점시간을 기존 오전 10시 30분에서 11시로 늦췄다. 이마트도 전 점포 폐점시간을 자정에서 오후 11시로 앞당기고 영업시간을 1시간 줄였다. 지난해부터 지방 점포를 중심으로 폐점시간을 오후 11시로 앞당긴 데 이어 올해부터 영업시간 단축을 전면 확대한 것이다.

현대백화점은 점포 퇴근 시간을 30분 앞당겨 초과근무 시간을 줄이기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오는 6월까지 백화점 전 점포 직원들을 대상으로 오후 7시30분 퇴근제도를 실시한다.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 역시 지난 4월부터 폐장시간을 오후 11시에서 오후 10시 30분으로 바꾸고 영업시간을 30분 줄였다.

롯데마트는 다음 달 1일부터 123개 전체 점포 중 49개점의 폐점 시간을 기존 오후 12시에서 11시로 앞당긴다. 홈플러스도 경기 안산고잔점, 전남 순천풍덕점 등 일부 매장 폐점시간을 자정에서 오후 11시로 앞당기고 영업시간을 1시간 단축했다.

유통업계와 달리 생산 비중이 높은 식품 제조업체들의 상황은 다르다. 근로시간 단축에다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치면서 인건비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업무량은 그대로인데 근로시간만 줄어 오히려 점심시간과 휴식시간 감소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 한국경제연구원의 '근로시간 단축의 비용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시간 단축으로 연간 12조 30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중견·중소기업들이 추가로 부담해야 할 인건비 규모는 8조 6000억원에 달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대기업의 경우 35시간 단축 근무가 도입이 되더라도 그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여력이 되지만 중견·중소기업들의 경우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면서 "인건비가 높아지면 결국 실적 악화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려면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인력 충원, 교대 작업 등 여러가지로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다"면서 "업무량은 그대로인데 근무 시간내 일을 마치려다 보니 휴식시간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근로시간 단축이 오히려 물가 인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근로 단축 법안이 산업·기업별 상황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적용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업장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법안 추진"이라며 "제조업체의 경우 숙련도, 기술이 필요해 7월부터 현장 투입이 불가피하므로 탄력적 근로제 시간제 등 현실적인 대책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사업장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법안 추진은 물가인상 등과 같은 후폭풍이 뒤따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유연 기자 (yy908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