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평창동계올림픽 경제효과의 허와 실

이소희 기자
입력 2018.02.15 06:00 수정 2018.02.15 08:11

사회·문화적 가치 호평 속 경제적 가치는 ‘글쎄~손해볼라’ 우려

사회·문화적 가치 호평 속 경제적 가치는 ‘글쎄~손해볼라’ 우려

세 번의 도전 끝에 개막된 평창동계올림픽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가장 큰 글로벌 스포츠제전임과 동시에 어떻게 치르느냐에 따라서 막대한 유·무형의 효과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올림픽 유치전에 나서고 있고, 우리나라도 30여 년 전 1988년 서울올림픽을 치르면서 국격이 한 단계 발전한 경험을 갖고 있다.

올림픽 개최는 이를 활용한 국가적 이미지 제고와 홍보, 향후 발전가능성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부가가치 창출이라는 큰 효과가 있는 만큼 이번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14일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000m 경기에 출전한 김현영이 빙상을 가르며 질주하고 있다. ⓒ2018평창사진공동취재단 14일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000m 경기에 출전한 김현영이 빙상을 가르며 질주하고 있다. ⓒ2018평창사진공동취재단

◇평창올림픽 경제적 효과로 65~29조원 추산…경제가치, 사회·문화와 달라 지적도~

평창이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2011년 현대경제연구원은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총 64조9000억원의 직·간접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놨다. 직접적 투자와 소비로 21조1000억원,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 11조6000억원, 간접적 경제효과로 평창이 겨울관광지로 부상하면서 얻게 되는 관광수익 32조2000억원을 합한 수치다.

이에 앞서 2008년 산업연구원은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생산 유발효과가 20조497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조7546억원, 고용유발효과도 23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또 2011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올림픽 기간 동안 20만명의 관광수요가 발생하고, 3920억원의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지출로 인해 약 6684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관광산업 부가가치 유발효과 2799억원, 9000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 같은 장밋빛 전망치만 있는 건 아니다. 그간의 올림픽을 치렀던 개최지가 모두 이렇듯 경제적인 효과를 누리지 못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심각한 재정난까지 겪는 사례도 최근 빈번해지는 등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국가이미지 위상 제고, 국가브랜드 가치 증대, 국민적 자긍심 고취, 사회역량 결집 등 사회문화적 효과와는 별개로, 순수한 경제적 가치를 냉정하게 분석하고 철저한 사후 준비 하에 올림픽을 치러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스포츠 시설 건설·보수, 도로, 환경개선 등 각종 SOC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엄청난 자금을 필요로 하는데 비해 시설 활용도는 떨어져 관리 비용 부담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올림픽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경제발전 조건으로 연계시키지 못하면 일회성 이벤트로 끝날 수 있어, 수조원의 혈세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도 대두됐다.

강원도 강릉 2018 평창동계올림픽 실내경기장인 아이스 아레나에서 마무리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강원도 강릉 2018 평창동계올림픽 실내경기장인 아이스 아레나에서 마무리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올림픽 이후 시설활용도·관광수익 증가가 관건…애물단지 전락 안되려면 전략 세워야

2012년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평창올림픽 사업계획 적정성 관련 자료에 따르면, 수익성이 담보된 계획은 없는 것으로 검토됐고, 그간의 여타 개최지와 비교해 양호한 운영수익이라 보기가 힘들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이용수요를 낙관적으로 전제해도 수익이 비용에 못 미치는 결과라는 관측을 내기도 했다.

이를 의식하듯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올림픽 이후 활용도가 적어 적자운영에 따른 애물단지가 되고, 사실상 폐허가 되는 시설도 많다”면서 “평창은 현재 12개 경기장 중 10곳은 민간기업과 학교 등에서 위탁해 활용할 수 있도록 주인이 정해진 상태로, 나머지 두 곳도 빠른 시간 내에 활용방안이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위원장이 말하는 시설 위탁관리 활용이 경제적인 활용가치에 부합되지는 않는 관리 차원이라는 시각도 내비쳤다. 산업과 연계한 수익창출과는 다르다는 얘기다.

특히 올림픽 이후 경제적 효과에는 관광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대회가 치러진 이후 10년간 간접적 경제효과로 포함되는 범위로 계산되고 있다.

고속철도를 비롯한 숙박시설 등 인프라 시설이 완공돼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관광으로 인한 새로운 발전동력을 갖게 될 것이라는 희망적 기대감과 함께 높은 접근성이 오히려 관광의 체류기간을 줄일 수도 있다는 양면성도 동시에 제기돼, 좀 더 치밀한 관광개발전략도 필요하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을 밝히는 조명 ⓒ연합뉴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을 밝히는 조명 ⓒ연합뉴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후 첫 주말인 빙상경기 개최도시 강릉 경포해변에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찾아 오륜마크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찍으며 봄같은 날씨의 주말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후 첫 주말인 빙상경기 개최도시 강릉 경포해변에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찾아 오륜마크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찍으며 봄같은 날씨의 주말을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5G개막식, 남북단일팀으로 분위기 띄웠지만…대북관계 등 분단국 특수상황이 변수

이번 평창올림픽이 국내외서 가장 큰 주목을 끈 부분은 평화를 기치로 내건 남북단일팀과 4차 산업혁명을 예고하면서 화려하게 등장한 세계 최초의 5G를 활용한 개막행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의 특수상황이 올림픽 관광특수를 누려야 할 최고의 기회를 자칫 상실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상존한다. 북핵의 위기가 표출되는 한 관광특수는 기대하기 어렵다. 지갑을 열어야 할 외국관광객들이 느끼는 안전지수는 국내와 사뭇 다르다.

결국 올림픽의 성공 개최의 요인은 투자 지출의 최소화, 향후 경기장 및 인프라 시설의 적절한 활용과 운영 수익, 관광객 유치전략으로 귀결된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현재까지의 평창동계올림픽은 당초 예산을 초과한 추가 시설비용 투입, 경제가치 보다는 사회·문화적 가치가 우위에 있는 운용방식, 향후 불투명한 남북관계 등으로 인해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게 다수의 예견이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